뷰페이지

[최준식의 거듭나기] 영화 ‘신과 함께’를 보고

[최준식의 거듭나기] 영화 ‘신과 함께’를 보고

입력 2018-03-04 22:20
업데이트 2018-03-04 2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신과 함께’는 한국인들의 저승관을 잘 보여 주고 있어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게다가 1000만 관객을 넘겼으니 주목해야 하는 영화이기도 하다. 내가 이 영화에 대해 꼭 쓰고 싶었던 이유는 이 영화의 내용이 내가 연구한 것과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나는 10여년 전에 ‘한국죽음학회’라는 학회를 만들어 인간의 죽음에 대해 나름대로 연구를 했다. 특히 사후 세계에 대해 관심이 많아 그 분야를 많이 파고들었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미국 쪽의 연구가 압도적이다. 내가 그동안 연구했던 학자들의 이름을 다 대기에는 이 지면이 부족할 지경이다. 그 가운데 한국에 알려진 사람으로는 레이먼드 무디, 퀴블러 로스, 이언 스티븐슨 등등이 있고 아직 알려지지 않은 학자도 부지기수이다.

이들 학자가 전한 사후 세계는 ‘신과 함께’에 나온 것과는 영 다르다. ‘신과 함께’에서 묘사되고 있는 저승은 주인공이 7번의 심판을 받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아주 ‘빡센’ 곳이다. 주인공이 힘겹게 각각의 심판대를 통과해서 마지막에 얻은 판결은 환생이었다. 그 힘든 저승을 가까스로 벗어나 이승으로 탈출하는 것이 주인공에게는 가장 유리한 판결이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국인들이 얼마나 강한 현세중심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한마디로 말해 한국인들은 이승에서 육신을 갖고 사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한국인들이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내세관이 없는 유교의 영향이 크다. 잘 알려진 것처럼 유교는 내세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세상에서 가족들과 장수와 부를 누리며 사는 것이 제일 좋은 것이다.

이러한 한국인들의 태도는 다음과 같은 속담들에 잘 나타나 있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 혹은 ‘죽은 정승이 산 개보다 못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죽음을 두려워하고 현세에 더 머무르고 싶어 하는 것은 인간이 갖고 있는 기본적인 욕구일 게다. 그런데 한국인은 이런 욕구가 다른 민족보다 조금 더 강한 것 같다. 이런 성향 때문에 한국인들은 치료를 더이상 할 수 없는 말기 질환 상태 때에도 무리한 치료를 감행하는 것 같다. 이것은 저승으로 가는 일을 너무 두렵게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인의 이러한 생각은 이 영화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주인공도 그렇지만 그를 변호했던 ‘저승 삼차사’들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그들은 49명의 의인이 나타나야 구제받을 수 있는데 그 구제라는 것이 고작(?) 이 세상으로의 환생이었으니 말이다. 얼마나 저승이 싫었으면, 혹은 저승을 몰랐으면 그쪽 세계를 이렇게 부정적으로 묘사했을까. 그래서 영화에는 수많은 악마들이 등장하는데 그중에서도 이들이 배를 타고 갈 때 일행을 잡아먹으려고 덤벼들던 인면 물고기들은 특히 섬뜩했다.

그런데 한 번만 생각해 보자. 이승, 즉 지금 여기서 사는 삶이 좋은지 말이다. 여러분은 지금 이곳에 다시 환생하고 싶은가. 이 질문에 그렇다고 말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는 ‘절대 아니다’에 한 표를 던진다. 이 세상 사는 게 오죽 힘들었으면 불교에서는 이 사바세계를 고해, 즉 ‘고통만 가득한 바다’라 했을까.

이 생각에 동의하든 안 하든, 이승에서 이렇게 힘들게 살았는데 육신을 벗은 뒤에 또 심판을 받으면서 아주 힘든 시간을 보낸다면 너무 잔인한 것 아닐까.

이 점에 대해 앞에서 인용한 세계적인 대가들의 입장은 다르다. 그들의 공통된 견해는 이 세상은 우리가 배우러 오는 학교이다. 그래서 ‘빡센’ 훈련장이라고 표현한다. 그러니 사는 게 ‘우라지게’ 힘들다.

그에 비해 죽는 것은 학업을 마치고 방학을 하는 것이란다. 한마디로 말해 죽음이란 지친 영혼이 쉬기 위해 저승으로 가는 것이다. 즐거운 시간이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염라대왕 같은 심판관도 없단다. 그저 비슷한 성향과 수준에 있는 영혼들끼리 모여서 산다고 한다. 이 설명을 믿고 안 믿고는 여러분에게 달렸다.
2018-03-05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