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승민 “‘전범’ 김영철 방한 반대”…박주선 “北에 재고 요구”

유승민 “‘전범’ 김영철 방한 반대”…박주선 “北에 재고 요구”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2-23 10:20
업데이트 2018-02-23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른미래, ‘김영철 방남’ 비판은 한목소리, 대응 방식은 온도차박주선 “한국당의 ‘김영철 사살·긴급체포’ 발언은 도 넘은 것”

바른미래당은 23일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에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단장으로 한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키로 한 것을 강력히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
바른미래당 유승민 공동대표가 23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평창 동계올림픽 폐회식 참석을 반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유승민 공동대표가 23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평창 동계올림픽 폐회식 참석을 반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주선 공동대표와 유승민 공동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영철 부위원장을 ‘천안함 폭침의 주범’이라고 규정하면서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질타했다.

유승민 공동대표는 “김영철 방한에 분명히 반대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김영철을 만나는 것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며 “정부는 김영철 방한 허용 방침을 당장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유 공동대표는 “김영철은 천안함 폭침의 주범으로 국군 통수권자가 해군 46명을 살해한 전범을 만나 대화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이는 대한민국과 우리 군, 국민을 능멸하고 모욕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박주선 공동대표도 “김영철을 천안함 폭침의 주범으로 국민은 판단하고 있다. 지금 김영철에 대한 국민의 분노 표출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라며 “정부는 ‘왜 하필 김영철이냐’고 북한에 대표단 교체를 요구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박 공동대표는 “김영철이 북한 대표로 오면 평화올림픽 의미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고 오히려 갈등과 혼란의 올림픽을 만들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는 북한에 김영철 파견을 재고할 것을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은 전날 김영철 부위원장 방남에 대해 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부의 태도는 극히 우려스럽다”고 했으나 이날은 비판의 강도를 끌어올려 ‘방남 결정 철회’를 공식 요구했다.

유의동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문 대통령은 당장 잘못된 판단을 취소하고 국민 앞에 머리 숙여 사죄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그에 상응하는 국민 심판을 피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두 공동대표는 향후 대책에 대해서는 미묘한 온도차를 노출했다.

유 공동대표는 김영철 방남 반대를 위한 저항운동까지 언급하며 강경한 대응을 제안했고, 박 공동대표는 운신의 폭이 좁은 정부 입장을 인정하면서 ‘북한 비핵화 원칙’ 고수를 주문했다.

유 공동대표는 “야당은 건전 시민과 온 힘을 합쳐 김영철 방한에 저항해야 한다”며 “바른미래당 전 당원과 지지자들은 김영철 방한 반대를 위한 청와대 국민 청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 공동대표는 “만일 북한이 김영철을 끝내 고집한다면 평화올림픽 정신에 입각해서 우리 정부로서는 거부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며 “정부는 북한 대표단에 비핵화가 이뤄지지 않는 한 남북관계 진전과 정상회담도 있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공동대표는 이어 “한국전쟁 주범인 북한은 우리에게 어쩌면 운명적인 저주의 애물단지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며 “그러나 큰 혜안과 지혜를 갖고 이 상황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자유한국당은 김영철이 한국에 오면 사살이나 긴급체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과도하고 금도를 넘는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