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칼럼] 정선·평창·강릉의 ‘올림픽 이후’

[서동철 칼럼] 정선·평창·강릉의 ‘올림픽 이후’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8-02-20 22:26
업데이트 2018-02-20 2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강릉에서 한국의 미(美)를 읽다’ 특별전에 가면 옛 지도 한 장을 만날 수 있다. 고려 충렬왕 34년(1308) 설치되어 조선 고종 33년(1896) 강릉군(郡)으로 개편되기까지 명맥을 이은 강릉부(府) 지도다. 지도는 대개 북쪽을 위에 두고 남쪽을 아래에 놓게 마련이지만, 동해에서 내려다본 듯 강릉 관아를 중심으로 서쪽 태백산맥을 위에 배치해 눈길을 끈다.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이 지도는 오죽헌박물관 상설전에도 출품되어 있었다. 하지만 평창동계올림픽을 기념하는 특별전에 나오면서 관람객이 지도 앞에 머무는 시간은 훨씬 길어졌다고 한다. 관람객은 올림픽 개막식에 이어 폐회식이 열리는 평창올림픽플라자와 썰매 종목 경기가 열리고 있는 평창슬라이딩센터가 지도의 어디쯤인지, 설상 종목 경기가 펼쳐지는 정선알파인센터는 또 어디 있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지도를 자세히 보자. 올림픽플라자가 있는 대관령면은 조선시대 강릉 땅이었음을 알 수 있다. 횡계역(驛)이 표시되어 있을 뿐 주변에 규모 있는 마을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말을 갈아타는 역은 국가의 통신과 교통 및 운송 시스템의 최일선에 있는 정거장이었다. 대관령면은 도암면이 2007년 이름을 바꾼 것이다. 도암면은 옛 강릉군에서 1906년 정선군에 편입된 데 이어 1931년 평창군 소속이 됐다.

알파인센터는 정선 가리왕산에 세워졌다. 평창 진부면 장전리에서 정선 회동리로 넘어가는 가리왕산 줄기 말목재(마항치)에는 강릉부삼산봉표(江陵府蔘山封票)가 있다. 산삼 채취를 막고자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표석으로 영조 시대 세워진 것으로 학계는 추정한다.

비석의 왼쪽에는 정선계(旌善界), 오른쪽에는 지명마항(地名馬項)이라고 새겨 놓았다. 표석을 세웠을 당시에는 이곳이 강릉부와 정선군의 경계였다. 그런데 알파인센터는 삼산봉표에서 정선 방향이 아닌 평창 방향인 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가리왕산은 강릉부에서 평창군, 다시 정선군으로 행정구역이 바뀌었다.

이렇게 보면 올림픽이 열리고 있는 강릉올림픽파크는 물론 평창과 정선의 경기장 모두 강릉부 옛 땅에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행정구역으로는 세 곳의 기초자치단체로 나뉘어 있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자연스럽게 형성된 하나의 문화권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경기장 입지를 선정한 사람들이 이런 역사적 배경을 인식하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탁월한 선택이었다고 본다.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정선·평창·강릉을 돌아보면서 새삼스럽게 눈에 들어온 것이 있었다. 아름답다는 말로는 표현이 부족한 축복받은 자연이었다. 물론 강릉과 그 앞바다가 지중해 같은 고대문화의 발상지는 아니다. 대관령 줄기 역시 알프스보다 덜 극적인 생김새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경포대 바닷가에서 바라보는 태백산맥의 풍경은 지중해에서도, 알프스에서도 느낀 적 없는 감동을 주었다.

더구나 강릉은 독특한 분위기의 문화도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강릉의 커피 문화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카페 앞으로는 동해, 뒤로는 태백산맥이 보이는 자연환경이 아니라면 커피맛은 덜할 것이다.

나아가 강릉이 가진 문화유산이 지역민의 기대를 뛰어넘는 문화적 자산으로 탈바꿈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평창은 당연히 겨울 스포츠의 성지(聖地)가 될 것이다. 정선은 일부 주민의 생각은 다를지 모르지만, 그동안 개발의 손길에서 벗어나 있었던 것이 오히려 장점이다. 친환경 휴양지의 결정적 조건이기도 하다.

정선·평창·강릉은 각개약진할 것이 아니라 해양 문화와 산악 문화를 아우르는 하나의 문화권으로 발전을 추구했으면 좋겠다. 제주도를 넘어서는 국제적 관광지로 조건은 이미 갖추었다. 경포 바닷가에서 마주친 올림픽 관광객들의 찬사는 그것을 분명히 확인시켜 주었다. 이런 인식을 꿈틀거리게 만든 것이 평창올림픽의 가장 큰 성과가 아닐까 싶다. 세 지역은 ‘올림픽 이후’가 더욱 중요하다.
2018-02-21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