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북특사가 이끈 역대 정상회담 ‘북한통’ 서훈ㆍ조명균 특사 유력

대북특사가 이끈 역대 정상회담 ‘북한통’ 서훈ㆍ조명균 특사 유력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2-13 23:28
업데이트 2018-02-14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낙연 총리ㆍ임동원 前장관도 물망

2000년과 2007년 역대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끌어낸 ‘키플레이어’는 대북 특사였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여동생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을 남으로 보내 ‘미소외교’로 세계에 메시지를 보냈듯이 특사는 ‘친서 전달자’ 이상의 무게와 의미를 갖는다. 문재인 대통령의 메신저 역할을 할 첫 번째 특사의 면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우선 거론되는 인물은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다. 서 원장은 1·2차 남북 정상회담을 막후에서 주도한 배테랑 대북 전문가이며 통일부 관료 출신인 조 장관도 1·2차 남북 정상회담에 모두 관여했다.

문 대통령도 지난 10일 김 제1부부장 일행 접견 자리에서 서 원장과 조 장관을 소개하며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때 북을 자주 방문했던 분들”이라며 “제가 이 두 분을 모신 것만 봐도 남북 관계를 빠르고 활발하게 발전시켜 나가려는 의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도 지난 11일 밤 김 제1부부장 환송 때 “제가 평양을 가든, 또 재회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언급해 특사 의사를 밝혔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화의 불씨는 살려야 하나 아직 남북 정상회담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여건’이 형성되지 않은 점을 고려해 먼저 상징적인 민간 인사를 보낼 가능성도 거론된다.

2000년 대북 특사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나 첫 남북 정상회담을 확정한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가 물망에 오른다.

청와대 관계자는 13일 사견을 전제로 “임 전 장관은 김정일 위원장과의 담판 경험이 있는 데다 대북 정책에 정통하고 북한에서 볼 때도 중량감을 갖췄으며 이 여사는 상징성까지 더한 인물”이라고 말했다.

2000년 ‘6·15 공동선언’을 도출한 첫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북한의 애정은 각별하다. 김 제1부부장이 방남할 때 타고 온 전용기 편명도 6·15공동선언을 연상케 하는 ‘PRK615’였다. 건강이 허락할 경우 이 여사나 임 전 장관이 방북한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6·15 정신 구현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후 미국과 조율해 정부 인사로 구성한 대북 특사를 파견, 남북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밟아 나갈 수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민간급은 당국을 대신해 북한에 껄끄러운 얘기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민간 대북 특사로도 거론되는 김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대표상임의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북 특사 적임자로 이낙연 국무총리를 지목했다.

청와대는 매우 신중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굉장히 조심스럽게 가는 상황이라, (특사 파견) 시기 등을 말할 수는 없는 단계”라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2-14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