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들리 스콧 감독 ‘올 더 머니’

영화 ‘올 더 머니’(사진ㆍ원제: 세상의 모든 돈)는 실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런 이야기다. 1973년 로마에서 석유 재벌 폴 게티(크리스토퍼 플러머)의 손자 게티 3세(찰리 플러머)가 납치된다. 범인은 그의 몸값으로 1700만 달러를 요구한다. 한국 돈으로 186억원. 분명 어마어마한 액수다. 그렇지만 게티가 누군가. 셀 수 없을 정도의 재산을 가진 갑부다. 그에게는 그 정도 돈쯤 아무것도 아니다. 그럼 게티는 범인에게 몸값을 지불하고 손자를 구하겠지. 보통 사람이라면 당연히 그렇게 했을 것이다. 하지만 20대에 자수성가한 그는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 게티는 범인에게 몸값을 주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영화 ‘올 더 머니’
이제 애타는 것은 게티 3세의 엄마 게일(미셸 윌리엄스)이다. 현재 그녀는 술과 마약에 찌들어 폐인이 된 남편 게티 2세(앤드루 버컨)와 이혼한 상태다. 게일은 행여 아들이 해를 입을까 전전긍긍한다. 그녀는 몸값을 낼 경제력이 없다. 게일이 의지할 사람은 시아버지뿐인데, 그가 저런 무심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게티도 나름 행동을 취하기는 한다. 그는 전 CIA 요원이자 심복인 플래처(마크 월버그)에게 이 사태를 해결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협상의 달인 플래처도 범인과 교섭하기는 쉽지 않다. 앞서 언급한 대로 게티는 범인에게 손자의 몸값을 건넬 마음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1966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돈을 가진 부호로 기네스북에 이름을 올렸던 게티. 그는 예술품 구입에만 돈을 썼고, 그 외에는 혀를 내두를 정도로 재물을 아꼈다. 오죽하면 자기 저택 안에 공중전화부스를 설치했을까. 전화를 쓰려는 방문객들은 직접 동전을 넣고 통화를 해야 했다. 그야말로 서양판 자린고비다. 이 영화를 만든 리들리 스콧 감독은 연출 의도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이 이야기는 현대판 비극이며, 동시에 철학적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돈이 많은 것과 없는 것, 그 사이의 공허함을 표현하고 싶었다.” 그 말을 이정표 삼아 작품을 감상할 필요가 있다.

게티를 비인간적이라고 비난하기는 쉽다. 한데 이 영화는 구두쇠는 나쁘다는 단순한 메시지를 전하는 영화가 아니다. 예컨대 그런 점을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돈으로 우리가 무엇을 사려고 하는지, 혹은 돈으로 우리가 무엇을 살 수 없는지를 말이다. 지금 나는 마이클 샌델의 저작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2012)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 책의 주제를 깊이 다루는 데 ‘올 더 머니’는 최적의 텍스트다. ‘거의’ 모든 것을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시대다. 그래도 ‘거의’라는 부사를 일부러 썼듯이 전부 그렇지는 않다. 각자에게 그것이 뭔가를 곰곰 따져 물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무수한 돈을 만졌지만 결국은 헛만진 것”이 되고 만다. “돈의 비밀이 여기 있다.”(김수영의 시 ‘돈’ 중에서)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