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가짜로 여기던 것이 어쩌면 진짜일지도 모른다

감독 이름인 경우가 있다. 어떤 영화를 볼까 고르는 기준 말이다. 연출을 맡은 사람이 ‘그(녀)’라고 하면 그 작품을 그냥 본다. 그것은 신뢰하는 브랜드 제품을 주저 없이 집어드는 행동과 비슷하다. 조금의 편차는 있어도 결코 실망은 하지 않으니까. 나에게는 요시다 다이하치가 그런 감독 중 한 명이다. 거액을 횡령한 은행원의 사연을 다룬 ‘종이 달’과 기리시마는 정작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 청춘물 ‘기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이렇게 딱 두 편의 영화를 접한 뒤, 나는 앞으로 그가 내놓는 모든 작품을 보기로 결심했다. ‘아름다운 별’은 그래서 고른 요시다의 신작이다.
이 영화는 미시마 유키오의 동명 소설(1962년 일본 출간, 국내 미번역)을 바탕에 두고 있다. 그렇다고 줄거리를 영상으로 똑같이 옮긴 것은 아니다. 시대상과 캐릭터 등 여러 설정이 달라졌다. 다만 ‘지구에 위기가 닥쳐, 한 가족이 외계인이 되기로 한다’는 원작의 뼈대는 그대로 두었다고 한다. 잠깐, 외계인이라고? 그렇다. 아빠 주이치로(릴리 프랭키)는 화성인, 아들 가즈오(가메나시 가즈야)는 수성인, 딸 아키코(하시모토 아이)는 금성인. 저마다 황당한 에피소드를 겪으면서 세 사람은 점점 자신들이 외계에서 온 생명체라고 믿게 된다. 엄마 이요코(나카지마 도모코)는 지구인이지만 뭐 어떤가. 우주의 관점에서는 모두가 우주인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요시다는 말한다. 이 작품은 “일본인이 아니라 지구인으로서 위기감을 느끼고, 미처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외계인이 돼야 하는 인간의 이야기”라고. 원작에서 전 지구적 위기는 핵전쟁의 공포였다. 영화는 이를 몇 가지 테마로 변주한다. 예컨대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환경 문제에는 주이치로가, 왜곡된 아름다움을 바로잡는 일에는 아키코가 매달리고 있다. 가즈오와 이요코도 각각 정치 영역과 건강 사업에서 나름대로 자기 사명을 찾는다. 그렇다면 ‘아름다운 별’은 외계인들이 위태로운 지구를 구하는 내용일까. 한마디로 “지구를 구할 가치가 있나요?” 라는 물음에 “아름다운 별인데 당연히 있죠”라고 착하게 대답하는 작품일까. 실제로 이런 대사가 영화에 나오기는 한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이 작품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단단하게 보였던 대상이 사실 얼마나 무너지기 쉬운 것이었는가를 폭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거기에는 ‘나는 외계인이다’는 자각도 포함된다.

그러나 겨우 이 정도뿐이라고 한다면, 전작에 비해 강렬함이 덜한 ‘아름다운 별’은 변변찮은 영화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요시다는 영리한 스토리텔러다. 그는 허상이 가리고 있던 실재를 포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실재가 또 하나의 허상일 수 있음을 드러낸다. 그러고 나서 요시다는 우리가 가짜로 여기던 것이 어쩌면 진짜일지도 모른다는 메시지를 넌지시 전한다. 이것이 내가 그의 이름을 신용하는 이유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