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방끈’ 짧은 중년… 갈 길 먼 평생교육

‘가방끈’ 짧은 중년… 갈 길 먼 평생교육

유대근 기자
입력 2018-01-22 00:24
업데이트 2018-01-22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 등 고등교육 이수율 18%

OECD 평균보다 8%P 낮아

우리나라 전체 성인들의 대학·대학원 이수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보다 높지만 중년층의 이수율은 OECD 평균을 한참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층을 위한 평생교육 관점의 고등교육이 아직 활성화되지 못했다는 현실을 보여 주는 수치다.
이미지 확대
21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펴낸 ‘고등교육지표 국제비교’ 자료를 보면 한국의 25∼64세 성인 가운데 학사·석사·박사(전문대 포함) 학위를 딴 고등교육 이수율(2015년 기준)은 45%로 OECD 평균(35%)보다 10% 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인 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은 월등히 높은 반면 중년층인 55~64세는 크게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국내 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9%였는데 이는 일본(60%)이나 영국(49%), 미국(47%), 프랑스(45%), 독일(31%), 중국(18%) 등 비교 대상 6개국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OECD 회원국의 25∼34세 평균 고등교육 이수율은 42%였다.

하지만 55~64세 한국인 중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 비율은 18%에 불과해 6개국 가운데 중국(4%) 다음으로 낮았다. OECD 평균(26%)과 비교해도 8% 포인트 낮다. 대교협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청년층일 당시 대학진학률이 30%가량으로 낮았던 데다 이후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대학 진학할 여유가 없어서 고등교육 이수율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야근·특근 등이 일상화돼 공부할 틈이 없었고, 산업화 시기에는 자기개발 필요성도 지금보다 덜해 뒤늦게 대학 문을 두드리는 직장인이 적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변화가 빠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청년기 대학 졸업 이후에도 끝없는 학습이 필요해 평생교육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교협 관계자는 “현재 710개인 직업 중 510만개가 소멸되고 200만개는 새로 생길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면서 “학벌보다는 새로 떠오르는 분야에 대해 얼마나 많은 정보를 가졌느냐에 따라 능력을 평가받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8-01-22 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