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졸라 부자’/황수정 논설위원

[씨줄날줄] ‘졸라 부자’/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8-01-11 22:36
업데이트 2018-01-11 2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어 하나로도 신구 세대가 가늠된다. ‘졸부’(猝富)의 뜻이 ‘벼락부자’라고 대답할 수 있으면 기성세대. 인터넷 세대라면 다르다. 십중팔구는 조건반사처럼 답한다. “졸라 부자.”
웃지 못할 생활 속 에피소드들은 넘쳐난다. 중학교 교실에는 윤봉길 의사의 직업이 병원 의사(醫師)인 줄 아는 학생이 수두룩하다. 제 이름 한자들을 보고도 눈만 멀뚱거리는 대학생이 부지기수. 봉투의 한자 이름을 못 읽어 결혼 축의금을 누구한테서 받았는지 모른다는 해프닝도 있다. 한자 까막눈이들의 ‘실화’다.

교육부가 초등 교과서 한자 표기 정책을 없던 일로 돌렸다. 지난 정권에서 시행 의지를 강력하게 보인 바람에 찬반 논란이 들끓었던 정책이다. 그런 사안을 이제 와서 쥐도 새도 모르게 제 손으로 폐기한다니 할 말이 없다. 교육부의 폐기 이유는 이번에도 간단하다. 교과서에 한자가 표기되면 한자 사교육이 유발된다는 우려다. 재작년 한창 한자 병기를 추진할 때는 “사교육 부담은 걱정 없다”고 했다. 그 입찬소리가 귀에 생생하다.

돌다리도 백번 두들겨야 할 교육정책이 죽 끓는 냄비다. 교과서 한자 표기 논의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한자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급진전했다. 가속 페달을 밟아 준 사람은 당시 황우여 교육부 장관. 반대 목소리들을 단박에 눌렀다. 초등 교과서에 많이 쓰이는 한자 300자를 고르되 교과서 여백에 음과 뜻을 표기하는 쪽으로 결론을 냈다.

교육정책이 이념의 프레임 속에서 갈지자 행보니 께름칙할 뿐이다. 새 정부 들어 교육부가 제 손으로 정책 방향을 튼다는 의심이 쏟아진다. 어제는 방과후 영어 금지, 오늘은 초등 교과서 한자 폐기. 자고 나면 손바닥을 뒤집으니 교육 현장은 어느 장단에 춤춰야 할지 혼비백산이다. 이러다가 내일은 한국사가 도마에 오를 판이다. 한국사를 대입 필수 과목으로 추진한 것도 지난 정부다. 장관 한 사람 바뀌었을 뿐 그 교육부가 이 교육부다.

뒤엎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최근 서울 소재의 소설을 쓰기도 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르 클레지오는 “사유의 폭을 확장할 수 있는 언어도구(한자)를 왜 제 손으로 버리려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의아해한다. 그런 고상한 말도 필요 없다. 당장 초등 5학년 사회 교과서를 한번 보고 다시 얘기하자. 한자 조어가 태반인 용어들은 아이들 눈에 난수표다. 용어 해설이 붙은 참고서가 필수인 이유다.

진보도 보수도 제발 더는 따따부따하지 말기를. 교육정책의 소비자는 누구도 아닌 학생과 학부모들이니까.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8-01-12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