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진모의 테마토크] 조PD의 ‘순수지속’과 인간의 존재방식

[유진모의 테마토크] 조PD의 ‘순수지속’과 인간의 존재방식

입력 2017-12-31 16:54
업데이트 2017-12-31 16: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유진모 칼럼니스트
유진모 칼럼니스트
힙합 프로듀서 겸 뮤지션 조PD가 최근 책 한 권을 냈다. 그는 1998년 국내 최초로 PC통신을 통해 음악을 유통하고, 가사 안에 최초로 노골적인 욕설과 함께 적나라하게 사회 비판을 담은 가수로 유명하다. 반항적, 개혁적, 진보적 성향인 게 당연하다.

이 책은 그런 선입견과 일부 오해에서 완전히 벗어난 반전이다. 의외로 깊고 넓은 철학적 인생관을 담고 있어 놀랍다. ‘직관’ ‘경험’ ‘창작’ ‘실행’ ‘자아 찾기’ ‘사랑’ ‘삶의 질’ 등의 주제를 통해 잘못된 관행이 횡행하는 연예계에 ‘독립군’으로 데뷔해 스타덤에 올라 오늘에 이른 과정, 자신의 시시콜콜한 사생활, 그리고 연예인의 뒷얘기 등을 펼치는 얘기꾼의 면모를 보인다.

결혼한 자신의 집들이 때 만취한 싸이가 화단에 신발을 가지런히 벗어 놓고 잠든 에피소드에선 슬며시 웃음이 피어오르지만 그런 가벼운 연예 비화를 이용한 장삿속이라 치부하기엔 그의 음악 저작권료는 서적 인세와는 규모가 다르다. 새해 한국 나이로 43살이 된 아버지 겸 남편 겸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아주 공손한 태도로 존재의 방식을 설명한다. 그가 서두부터 프랑스의 관념론 철학자 베르그송을 거론한 이유는 명백하다. 베르그송은 생철학과 직관주의의 대표자다. 그는 사고를 초월한 최고의 유일한 인식능력을 직관이라고 봤다.

또 생철학을 통해 ‘생을 모든 사물에 우선되는 근본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이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길은 합리적인 지적 인식이 아니라 합리적인 직관이나 심정적 체험’이라고 주장했다. 그 근간이 창조적 존재 방식인 ‘순수지속’이다. 순수지속은 상호침투성과 이질성에 근거한다. 얼핏 보면 다른 이 두 성질은 물과 소금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달라야 서로 섞인다. 조PD는 지난해 해외에서 뉴스를 통해 국정 농단 사태를 접했다. 그는 그동안 정치에 무관심했던 아버지 중 한 사람으로서 부끄러웠고, 두 자식에게 무척 미안했다. 그래서 전국의 촛불집회를 찾아다니며 무대에 올랐다.

그의 목적은 선동이 아니었다. 책 속엔 자신과 같은 무책임한 ‘아재’가 되지 말고 후배와 후손에게 더욱더 행복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해 제발 정치에 관심 좀 가지라는 분명한 의도를 적고 있다. 책 좀 읽고, 역사에 관심을 가지라고 호소하는 것이다. 자신의 생각을 따르라는 게 아니라 보수, 진보 가르지 말고 화합하자고 주문하는 것이다. 그게 순수지속이라고.

젊은이에겐 창조적 존재 방식을, 후배들에겐 창조적 창작을 각각 강조한다. 뮤지션이 굳이 정치를 다룰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되레 외면할 이유도 없다고 외친다. 창조는 신의 영역이기에 작곡자가 다가설 수 없지만 창조적인 자세의 창작이 건강한 사회를 위한 존재 방식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영화 ‘인터스텔라’가 5차원의 공간과 우주적 시간의 개념을 끌어들였다면 그는 ‘지나간 길을 되돌아보지도, 길의 끝을 생각하지도 말고, 오늘을 열심히 살자’고 3차원의 현실 개념을 주창한다. 더불어 ‘어제는 없다’는 서두와 ‘매순간 점을 찍고 오랜 세월 그걸 선으로 이으며 살자’는 마무리의 수미상응 솜씨도 발휘하는데 이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의 ‘존재 물음’에 대한 나름의 철학인 듯하다. 오늘이 부족하면 과거는 무의미하고 내일은 없다는 것. 스스로 ‘딴따라’라고 표현하며 스타덤에 올라서면 마치 자신이 신이라도 된 듯 착각하는 연예인은 절대 그 자리를 오래 지키지 못한다고 따끔하게 경고한다. 그래서 이승환이나 ‘전경과 학생으로 갈라서지 말자’는 싸이와 친한 존재 방식을 선택한 듯하다.
2018-01-01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