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뢰사회로 가는 길<3>] 빅데이터로 객관적 평가 ‘공공기관 신뢰지수’ 뜬다

[신뢰사회로 가는 길<3>] 빅데이터로 객관적 평가 ‘공공기관 신뢰지수’ 뜬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7-12-11 22:56
업데이트 2017-12-12 16: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신문·서울대 공동 ‘SPTI’ 국내 첫 개발

‘딥 러닝’(Deep Learning) 방식을 활용해 공공기관의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수가 국내 처음으로 개발됐다. 국정농단 사태 등으로 정부 신뢰도가 바닥으로 추락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 부처를 포함한 공공기관들이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당 기관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신문과 서울대 폴랩(pollab)이 공동으로 개발해 제공하는 ‘2017 공공기관 신뢰지수(SPTI)’ 홈페이지 화면. 사진은 ‘신뢰사회로 가는 길’ 시리즈 4회로 보도 예정인 ‘검찰’의 워드 클라우드.
서울신문과 서울대 폴랩(pollab)이 공동으로 개발해 제공하는 ‘2017 공공기관 신뢰지수(SPTI)’ 홈페이지 화면. 사진은 ‘신뢰사회로 가는 길’ 시리즈 4회로 보도 예정인 ‘검찰’의 워드 클라우드.
●네이버 기사 21만 9588건 분류

11일 서울신문은 서울대 폴랩(pollab)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공공기관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공공기관 신뢰지수’(SPTI, Seoul Shinmun-SNU Pollab Public Trust Index)를 개발했다. 신뢰지수 산출을 위해 올해 1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제휴 협약을 맺은 언론사에서 송고한 공공기관 관련 기사 21만 9588건의 빅데이터를 컴퓨터 알고리즘이 ‘딥 러닝’을 통해 긍정·부정·중립 논조로 분류했다. 이어 기관별 부정기사 대비 긍정기사의 비중 값을 ‘신뢰지수’로 판단했다.

●기존 ‘셀프 평가’ 이유 객관성 문제

한규섭 교수는 “여론조사로는 공공기관이 왜 그런 평가를 받게 됐는지 알기 어렵다는 한계를 언론보도 빅데이터를 통해 보완하고자 했다”면서 “언론 보도에는 공공기관의 업무나 정책, 잘못한 점 등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에 논조를 분석하면 국민이 어떻게 평가했는지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정부가 실시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셀프 평가’라는 이유로 객관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적지 않았다. 서울신문은 직무수행평가, 이미지, 선호도, 언론 논조분석(SPTI) 등 신뢰도를 계량화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해 공공기관 신뢰도 평가에 나선다. 앞으로 독자들은 마치 일기예보나 주식 시황을 보듯 신뢰지수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어느 기관이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했는지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신문은 홈페이지(pollab.co.kr/seoul_gov_trust)에 신뢰지수를 공개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나갈 예정이다. 또 빅데이터 수집 범위를 넓히고, 평가 기관도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특별기획팀 the@seoul.co.kr
2017-12-12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