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미의 뮤지엄 천국] 꿈드림 엄마들과 나눈 즐거움

[이은미의 뮤지엄 천국] 꿈드림 엄마들과 나눈 즐거움

입력 2017-12-01 17:50
업데이트 2017-12-02 0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주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는 ‘맛있는 아시아, 밥·빵·국수’ 전시 개막식이 열렸다. 테이프 커팅의 주인공은 ‘엄마 나라 음식을 소개합니다’ 전시 코너에 참여한 어린이 10명이었다. 엄마가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 우즈베키스탄, 몽골 등지에서 온 어린이들이다. 엄마가 만들어 준 음식을 영상으로 보여 주면서 설명하는 역할을 훌륭하게 해냈다.
이미지 확대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엄마 나라 음식을 소개합니다’의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음식을 만든 엄마들이다. 전시를 만들면서 이주여성 네트워크인 꿈드림학교에 도움을 청했다. ‘엄마 나라 음식을 소개합니다’에 참가할 어린이를 찾는다고. 먼저 간단한 자기소개가 필요하다는 요청에 보내온 이메일을 열어 보고는 내심 놀랐다. 휴대전화로 찍어 보내온 아이들의 자기소개, 거기다 직접 요리를 만들면서 찍어 보낸 영상까지, 우리 아이들의 자연스러움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엄마들의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촬영을 하면서 엄마들은 자기 나라 음식을 알리기 위해 정성껏 고향 음식을 만들고 밥상을 차렸다. 참여하겠다고 신청서를 보내왔지만 처음에는 가족들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주저한 경우도 있었다. 그저 한국 어린이로 잘 자라고 있는데 이런 일로 학교에 소위 다문화가정 어린이라는 것이 밝혀지면 행여 편견 어린 시선을 받게 되진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이경숙 어머니의 이야기는 아마도 이런 심정을 대변하는 듯하다. 함께 간 수영장에서 “엄마가 중국에서 왔느냐”고 묻는 친구들의 질문에 “우리 엄마는 한국 사람”이라고 답하는 아들을 우연히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아이들의 장래를 위해 무엇이 최선일까 고민했고, 이번 기회를 통해 ‘터트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우리는 이주여성이지만 동시에 엄연히 한국 사회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구성원’이라는 것을….

인도네시아 음식을 좋아하지만 자주 먹을 수 없어 아쉽다는 5학년 장미나의 어머니 안나 쿠스마씨는 이런 기회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한다. 한국에 있는 이주여성들이 더 적극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녀는 현재 이중언어 강사로 열심히 활동 중이다.

이번 전시는 국립민속박물관이 2010년 시작한 다문화꾸러미 사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꾸러미는 한 나라의 문화 전반을 하나의 상자에 압축해 담아 놓은 일종의 교육 자료다. 출신국은 다르지만 상대방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의 문화상자다. 그동안 베트남, 몽골, 필리핀, 한국,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 꾸러미를 만들었다.

얼마 전 체코에서 열린 국제어린이박물관협회 콘퍼런스에서 다문화꾸러미 사례를 발표했다. 그런데 마지막 질문이 잊히질 않는다. “이 상자가 다문화 가족 자신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가”라는 의문이었다. 이 사업은 다문화사회 속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됐지만 돌이켜보면 출발은 관념적이었고 일방적으로 문화를 알려 주는 방식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개막식에 참석한 어린이들은 아시아 각국의 대표로 엄마 나라 음식을 소개하는 ‘아시아정상회담’에서도 서로의 음식에 관한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이번 전시 과정에서 보여 준 꿈드림학교 엄마들의 열정과 헌신은 다문화 사업이 이제 진전된 양상으로 나아가야 할 단계임을 보여 준다. 서로 간에 마음을 열고 이해와 열정을 자연스럽게 나누다 보면 문화 사이에 창조적 상호작용, 새로운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싶다.
2017-12-02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