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러 ‘지르콘’ 실전배치… 기존 MD 무용지물

러 ‘지르콘’ 실전배치… 기존 MD 무용지물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7-11-28 22:38
업데이트 2017-11-28 2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음속 8배’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
자유자재로 궤도 바꿀 수 있어
비행체 요격 사실상 불가능
美·中과 개발 경쟁서 우위 선점
이미지 확대
러시아가 음속의 8배인 마하 8(시속 9792㎞)의 속도로 미국 해군 함정을 타격할 수 있는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을 실전 배치했다고 이타르타스통신 등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마하 5(시속 6120㎞) 이상의 속도를 자랑하는 최첨단 극초음속 비행체는 기존 미사일방어(MD) 체계로는 요격이 불가능한 ‘게임 체인저’로 평가돼 미국, 중국, 러시아의 개발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빅토르 본다레프 러시아 국방안보위원회 위원장은 “러시아군이 ‘지르콘’ 대함 순항미사일 전력화 작업을 완료해 지금 당장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러시아군은 이 미사일이 대서양에서 활약할 핵추진 미사일 중순양함 ‘나이모프 제독’함과 ‘포트르 벨리키’함 등에 탑재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미국과 중국보다 극초음속 미사일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게 됐다는 평가다. 러시아군은 최대 사거리 740㎞(유효 사거리 400㎞)인 지르콘 미사일을 핵잠수함과 전략 폭격기,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스텔스 폭격기에도 장착할 계획이다. 지르콘 미사일은 발사된 뒤 3분 15초 만에 400㎞ 밖의 목표물을 무력화하고 핵탄두도 장착할 수 있어 미 해군에 큰 골칫거리다.

극초음속 비행체는 속도 측면에서는 아직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마하 20)이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마하 8~10) 등에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탄도미사일은 로켓 분사가 끝나면 탄두가 목표 지점을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낙하하기 때문에 궤적을 예측할 수 있다. 반면 극초음속 비행체는 낮은 고도에서 자체 동력을 이용해 자유자재로 궤도를 바꿀 수 있다. MD 체계는 상대방이 발사한 미사일의 탄도와 속도, 방향을 예측해 요격하는 방식이므로 탄도미사일에는 일부 통할 수 있어도 극초음속 비행체의 요격은 불가능한 셈이다. 마하 5는 서울과 부산을 4분 만에 주파하고 전 세계 어느 지역이든 1~2시간 내 타격이 가능한 속도다.

중국도 미국의 MD 체계를 무력화시키겠다는 목표로 2014년부터 극초음속 미사일 운반 로켓 WU14(DFZF) 시험 비행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이 비행체는 ICBM을 개조해 만든 운반 로켓에 실려 우주 공간에 나갔다가 다시 대기권으로 진입해 최대 마하 10의 속도로 날아갈 수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과학원이 이 밖에 시속 4만 3200㎞(마하 35)에 달하는 극초음속 비행체를 시험할 수 있는 풍동 시험시설을 건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비행체 개발이 완료되면 중국에서 미 서부 해안까지 14분이면 도달할 수 있다.

극초음속 비행체 개발의 선두 주자를 자임해 온 미국은 최근 러시아와 중국의 약진에 놀란 눈치다. 미국은 2010년 보잉사의 극초음속 무인기 X51(웨이브라이더) 시험 비행에 성공했지만 속도가 마하 5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은 이 밖에 마하 6의 차세대 극초음속 전략정찰기 SR72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7-11-29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