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솜씨와 맵시/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솜씨와 맵시/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11-22 22:36
업데이트 2017-11-30 15: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솜씨’는 ‘손’과 관계가 깊다. 국어사전에는 ‘손을 놀려 어떤 일을 하는 재주’라고 기본 뜻풀이가 돼 있다. 비슷한말 관계에 있는 단어로는 ‘손재주’, ‘손재간’이 있다. 어원을 살펴보면 ‘솜’은 아예 ‘손’이었다.

‘솜씨’는 ‘손+쓰+이’ 구조에서 비롯한다. ‘손’은 우리 신체의 일부인 ‘손’이고, ‘쓰’는 ‘쓰다’의 ‘쓰’다. ‘이’는 어떤 말을 명사가 되게 하는 접미사다. 여기서 ‘손씌’가 되고 ‘솜씌’, ‘솜씨’가 됐다. ‘손’이 ‘솜’이 된 까닭은 ‘씌’의 ‘ㅆ’이 본래 ‘ㅂㅅ’이었던 데 있다. 이 ‘ㅂ’의 영향으로 앞의 ‘ㄴ’이 ‘ㅁ’이 됐다. ‘ㅂ’도 ‘ㅁ’도 입술에서 소리가 난다. ‘ㄴ’ 대신 ‘ㅂ’과 가까운 ‘ㅁ’으로 바뀐 것이다.

‘씨’는 ‘앞말이 나타내는 상태나 태도, 모양, 재주’의 뜻을 더하는 말이 됐다. ‘솜씨’ 외에 ‘말씨, 마음씨, 바람씨, 발씨’의 ‘씨’도 같은 구실을 한다.

이런 ‘씨’들의 영향이 있는 듯하다. 물론 소리도 [씨]로 난다. ‘맵시’는 적을 때 ‘맵씨’와 흔히 왔다 갔다 한다.

‘맵시’를 소리 나는 대로 ‘맵씨’로 적지 않는 것은 ‘접시’라고 하는 이유와 같다. ‘접시’도 발음은 [접씨]다. 규칙적인 것이다. ‘ㅂ’ 받침 뒤에서는 규칙적으로 된소리가 난다. 그래서 맞춤법에 예사소리로 적는다는 규정을 두었다. ‘ㄱ’ 받침 뒤에서도 마찬가지다. ‘갑자기’, ‘납작하다’라는 표기가 자연스럽다. 발음과 달리 우리는 대부분 ‘늑대’, ‘낙지’, ‘색시’, ‘깍두기’에 더 익숙해져 있다.

wlee@seoul.co.kr
2017-11-23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