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선의 함께하는 세상] 수학, 과학을 포기한 수과포자

[김상선의 함께하는 세상] 수학, 과학을 포기한 수과포자

입력 2017-11-17 17:52
수정 2017-11-17 1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상선 한양대 특임교수
김상선 한양대 특임교수
수포자, 과포자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수학, 과학이 어렵고 골치 아파서 포기한 학생을 의미한다. 실제로 초중등학교 학생 중에 수(과)학을 포기한 학생이 50%에 육박하고 있다고 한다.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과학기술이 등장하고 있고 과학기술이 모든 분야 발전의 중심이 되는 과학기술 중심 사회의 도래와 함께 제4차 산업혁명의 파고는 쓰나미처럼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작 주역이 돼야 할 우리 청소년인데, 장차 어떤 분야에서 일을 하게 되든지 반드시 필요한 기본 중의 기본 역량인 수학, 과학을 포기한 학생이 50% 이상이라니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빠른 과학기술 발전이 비단 청소년들에게만 문제 되는 것은 아니다. 종종 어른들에게도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빨라도 너무 빨리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뒤처지는 소위 디지털 디바이드 또는 첨단기술 디바이드 현상으로 인한 소외 계층이 날로 늘어 가고 있다. 과학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일자리 여건 변동 역시 큰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인공지능 발전 등 4차 산업혁명의 빠른 진전에 따라 수많은 직업이 사라지고 동시에 새로운 듣보잡(듣지도 보지도 못한 잡)도 생기고 있다. 실직 또는 전직자를 위한 재교육은 물론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시급한 이유이다. 몇 해 전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메이커 운동 역시 본격화돼야 할 것이다. 청소년은 물론 주부, 어르신에 이르기까지 국민 누구나 무한한 상상력을 꿈으로 실현해 볼 수 있는 무한상상실을 비롯한 인프라 확충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문제는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크고 작은 갈등의 중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광우병, 유전자변형(GM) 작물, 방사선 조사 식품, 살충제 계란,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사스, 에볼라, 메르스, 지카바이러스, 사드, 그리고 최근의 원자력 문제에 이르기까지 셀 수 없이 많은 이슈들에 대해 정확한 사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칫 가짜 뉴스가 춤을 추면서 불필요한 갈등 해소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그뿐 아니다. 원격 진료, 자율주행자동차, 유전자 가위, 줄기세포 기술, 핀테크 등 새롭게 등장하는 각종 신기술에 대한 지나친 우려가 진입 장벽이 되면서 우수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면서도 적기에 꽃피우지 못하고 후발국에 추월당하는 안타까움도 경험하게 된다.

이런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한 처방전이 바로 과학기술문화 창달이다. 그동안 주력해 온 과학기술 개발 노력 못지않게 국민 누구나 과학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꿈꾸고 대중화·생활화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하는 일이 너무도 시급하고 중요하다. 미래 꿈나무들이 수학·과학기술을 즐길 수 있는 여건,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직업 여건 변화에 대응한 전직 또는 재교육, 첨단기술 낙오자 대책, 인프라 확충, 신기술·신산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갈등 및 진입 장벽 해소 등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만큼 과학기술문화 창달 노력이 너무도 시급하고 중요한 이유다.

그동안 정부 등의 노력으로 과학문화 활동이 양적·질적으로 성장을 거듭해 오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박수를 보낼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 및 관심도가 정체 또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과학기술문화 콘텐츠 개발과 참여, 소통 그리고 관련 교육 기능의 확대는 물론 과학문화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함으로써 청소년은 물론 주부, 어르신에 이르기까지 국민 누구나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나가고, 정부 재정을 중심으로 한 정부 주도 일변도에서 벗어나 민간 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과학창의재단과 같은 과학기술문화 전담 기관을 확충하는 한편 관련 예산을 확대하고 법제도 강화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특히 복권기금에만 의존하는 과학기술문화 예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통한 과학기술문화사업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으면 한다.
2017-11-1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