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네이버의 또 다른 20년/김태균 산업부장

[데스크 시각] 네이버의 또 다른 20년/김태균 산업부장

입력 2017-11-06 23:28
업데이트 2017-11-07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태균 산업부장
김태균 산업부장
1999년 6월 처음 만났을 때 그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 삼성SDS 멀티캠퍼스 건물의 한쪽을 사무실로 쓰고 있었다. ‘네이버’의 법인설립 절차가 채 완료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잠을 못 자 피곤하다고는 했지만, 32세 ‘청년 이해진’의 얼굴엔 생기가 가득했다. 1997년 10월 삼성SDS의 사내벤처로 검색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 반쯤밖에 안 됐는데도 네이버는 그때 하루평균 250만 페이지뷰를 올리며 토종 검색기업 선두를 달리고 있었다.

그에게는 많은 생각들이 있었다. 지나친 광고, 경품 등 초기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어지러운 질서를 걱정했고, 미래 정보도구로서 (나중에 ‘스마트폰’으로 불리게 될)휴대전화가 갖게 될 무한한 가능성을 믿고 있었다. 신생벤처로서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는데, 그중 하나는 언론사들이 네이버에 대한 뉴스 공급을 꺼린다는 것이었다. 기껏 공들여 생산한 기사를 왜 엉뚱한 회사에 주느냐는 인식이 언론에 팽배해 있던 때였다. 악수를 하고 헤어지면서 나는 마른 체형에 선한 표정을 가진 그 청년 도전자가 꼭 성공하기를 바랐다. 미국산 ‘야후’나 ‘라이코스’를 이기고 토종 기업으로 멀리 높이 도약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했다.

네이버는 이후 경쟁자들을 차례로 제치고 ‘거인’이 됐고, 창업자 이해진은 청년들에게 ‘신화’가 됐다. 지난 9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네이버를 ‘준(準)대기업집단’으로, 창업자를 ‘총수’로 지정한 것은 하나의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창업자 이해진이 지난달 말 국회 국정감사 증인석에 앉았다. 서비스를 개시한 지 딱 20년 만이었다.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난 그의 공식 직함은 ‘글로벌투자책임자’(GIO)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산 6조 6000억원에 71개 계열사(올 5월 1일 기준)를 거느린 대기업 총수 자격이었다. 20년 전 모든 게 불투명하고 가진 게 부족해 고민이었던 그는 이제 온갖 수단을 소유하고 막강한 힘을 가진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돼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았다. 시장을 독점적으로 지배하려 든다, 경쟁기업들의 싹을 없애려 한다 등 기존의 재벌기업들에 익숙할 법한 지적들이 그에게 쏟아졌다.

창업자 이해진은 ‘글로벌 경쟁력’을 전면에 내세워 자신과 네이버를 방어했다. “인터넷은 국경이 없으니 글로벌 하게 봐야 한다. 해외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보니, 국내 상황은 잘 모른다”고 했다. “10년 전부터 일본 시장 개척에 힘썼고 지금은 유럽 시장을 챙기고 있다”고도 했다. “구글도 겪는 문제인데 네이버만 비판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이것이 본질일 수는 없다. 그에게 던져진 질문은 네이버가 지배하는 국내 산업의 ‘기울어진 생태계’에 관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글로벌 경쟁력이 국내 후발주자나 소상공인, 소비자들의 희생, 불이익을 바탕으로 성취된 결과여도 과연 우리 사회가 용인할 수 있겠느냐에 대한 물음이었던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네이버에는 혼자만 잘되기를 바라고, 동생들은 돌보지 않는 맏형과도 같은 이미지가 따라붙고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네이버의) 장기적 성장도 중요하다”며 “우리 사회 전체가 네이버와 관련한 여러 문제를 합리적으로 풀어갈 수 있도록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고민의 해법을 위한 열린 마당을 펼쳐야 하는 것은 네이버, 좀더 정확하게는 창업자 이해진의 몫이다. 그것이 사회적 책임이다.

해답은 20년 전 ‘청년 이해진’이 했던 고민에 상당 부분 담겨 있을 것이다. 새로운 20년 후, ‘4차 산업혁명’의 도약대를 지나 모든 것이 지금과 달라져 있을 그때에도 네이버가 진정한 강자로 존재하기 위한 열쇠 또한 그 안에 있을지 모른다.

windsea@seoul.co.kr
2017-11-0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