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선비에 가려진 조선시대 ‘자식 바보’

선비에 가려진 조선시대 ‘자식 바보’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7-11-03 17:42
업데이트 2017-11-04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박동욱 지음/휴머니스트/308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20대엔 30대가 어른처럼 보인다. 30대가 되면 40대가 또 그렇다. 그렇게 40대가 돼 되돌아본들 스스로 어른이라 말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아버지도 그렇지 싶다. 내가 저 나이가 되면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을까 싶지만, 그 나이가 돼도 아버지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렇게 아버지를 여의고 나서야 나도 아버지가 된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영웅이자 ‘꼰대’인 복잡다단한 존재, 아버지에 관한 이야기다. 선비라는 이름 뒤에 숨겨야 했던 조선의 ‘자식 바보’ 아버지들의 모습이 담겼다.

책은 조선시대 아버지 13명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개는 자식을 앞세우거나, 유배지에서 아이들과 떨어져 지낼 때의 소회 등 상실의 체험들이다. 조선시대 평균 연령은 30대에 불과했다고 한다. 그러니 환갑에 가까워질수록 참척의 고통을 겪게 될 가능성도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었을 터다.

다산 정약용은 6남 3녀를 낳아 그중 4남 2녀를 천연두로 잃었다. 출생 후 4일부터 길게는 4년까지 살다 갔다. 그렇게 죽은 자식이 여섯이나 되니 그 아픔을 짐작조차 하기 힘들다. 슬픈 아버지가 원망스러운 하늘에 대고 할 수 있는 일이란 글을 쓰는 게 고작이었을까. 그는 당시의 고통을 ‘마과회통’이란 책에 여실히 남아 냈다.

문장가 김창협의 사연도 절절하다. 그는 ‘어린 자식 청상의 광지’라는 글을 통해 “피붙이가 이따금 흙으로 돌아가는 것은 운명일 뿐”이라면서도 “뒷사람들은 이곳에 쟁기를 대어 파헤치지 말기를 바란다”며 통곡했다.

잔소리 많은 ‘꼰대’의 모습이 빠질 리 없다. 실학자 안정복은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집에서는 중처럼 지내고 마을에선 아낙처럼 처신하라”며 근신을 다그친다. “중은 가난을 마다하지 않고 아낙은 늘 남을 무서워하기 때문”이라며 아들이 듣기 싫을 법한 해설까지 곁들였다. 채팽윤은 피붙이인 친자보다 양자로 들인 아들에게 남다른 애정을 보였고, 윤기는 ‘흙수저’만 안겨줄 수밖에 없던 아버지로서의 버거움을 표현하기도 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11-04 1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