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태 돋보기] 벌레가 쏘면 얼마나 아플까?/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생태 돋보기] 벌레가 쏘면 얼마나 아플까?/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입력 2017-10-23 22:12
업데이트 2017-10-23 2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한가위 연휴 기간 부산 항만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발견된 남미산 ‘붉은불개미’ 소식으로 떠들썩했다. 이 개미에 대한 오해가 많이 해소됐지만 초기 보도에 ‘살인독개미’로 불려 국민들을 두렵게 했다. 도대체 독이 얼마나 세길래 ‘살인’이라는 이름이 붙게 됐을까. 이 궁금증은 나만 가진 게 아닌가 보다. 미국의 곤충학자인 슈밋은 순수한 과학적 호기심으로 몸소 여러 곤충들에게 쏘여 보며 그 고통을 등급화했다. 그는 이런 노력으로 2015년 과학계 괴짜들에게 주는 이그노벨상을 받았다. 슈밋은 고통에 등급을 매겼는데 1등급이 덜 아프고, 4등급은 가장 아픈 것을 나타낸다.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붉은불개미의 침은 가장 약한 1등급이다. 이 개미에 쏘인 적은 없지만 뱀허물쌍살벌에 쏘여 본 경험으로 이와 비슷한 고통이 아닐까 한다. 이 붉은불개미는 꿀벌과 달리 입으로 물고 배 끝에 달린 침으로 7~8회 정도 연속으로 찌를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쏘인 후 1시간 정도 가렵거나 따끔거리고 4시간 후에 물집이 잡히며 10일가량 지나면 사라진다. 그사이 물집에 세균 감염 등이 일어나면 상태가 나빠질 수도 있다. 또 사람에 따라서 아나필락시스라고 하는 과민반응으로 위험에 처할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한다.

두 번째 1.5등급에는 열대숲의 아카시아나무와 공생하는 아카시아개미가 뽑혔다. 몇 년 전 파나마 정글 숲에서 처음 본 이 개미가 너무 신기해 얼굴을 바짝 들이댔다가 머리카락 속으로 뛰어든 개미들에게 혼쭐이 난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2등급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꿀벌의 침이다. 3등급에는 북미산 수확개미류가 속한다. 캘리포니아 모하비사막에서 멋모르고 엎드려 쳐다본 것이 이들이었는데 다행히 쏘이진 않았다. 또 쌍살벌류가 속한다고 하는데 위에 언급한 뱀허물쌍살벌과는 생물학적 계통이 다르다. 4등급에는 거미를 사냥하는 대모벌류가 있는데 대모벌의 생김새로 짐작건대 엄청나게 아플 것 같다.

슈밋의 경험 속에 가장 큰 고통을 줘 ‘4+’등급을 받은 곤충이 총알개미다. 작년에 코스타리카의 한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무심결에 난간을 짚자마자 무엇인가 내 왼손 가운뎃손가락을 쐈고 엄청난 고통이 밀려왔다. 현지인들은 총알개미에게 쏘였을 것이라 말했지만 그것을 확인할 용기조차 없을 정도였다.

개미와 벌처럼 집단생활을 하는 종류에게서 독침이 발달한 이유는 독침이 꿀 같은 귀중한 자원과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대개 독침은 교란되거나 공격을 받았을 때 쓰인다. 일부러 독을 가진 곤충을 괴롭힐 리는 없겠지만 만약 이들에게 쏘이는 일이 생긴다면 빨리 그리고 침착하게 의학적 처방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2017-10-24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