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 장소서 전쟁유물 발견됐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 장소서 전쟁유물 발견됐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0-12 14:36
업데이트 2017-10-12 15: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려청자 등 120점 수중 조사에서 발견

정유재란(1597~1598) 당시 이순신 장군이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던 명량대첩에서 사용됐던 돌탄환을 비롯해 고려청자 등 다양한 전쟁유물이 발견돼 주목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왜병 물리친 조선수군의 돌탄환
왜병 물리친 조선수군의 돌탄환 12일 전남 진도군 군내면과 해남군 문내면 사이 명량해협에 정박한 누리안호에서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수중 발굴한 돌탄환 등 전쟁유물을 공개했다. 2017.10.12 연합뉴스
문화재청 산하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5월부터 시작한 명량해협 수중발굴조사의 성과를 현장에 정박 중인 탐사선 누리안호 선상에서 12일 공개했다.

이번 발굴에서는 돌을 둥글게 갈아 만든 지름 약 2.5cm의 조란탄이 2012년 이후 모두 5차례에 걸쳐 진행된 수중탐사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조란탄은 돌로 만든 새알처럼 생긴 둥근 탄환이다. 조란탄은 조선수군이 화약 20냥을 잰 지자총통으로 300발 가량을 한꺼번에 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순신 장군은 난중일기에서도 명량대첩 직전 소규모 전투들이 벌어졌음을 밝혔으며 ‘무수히 많은 조란탄을 쐈다’라고 기록하기도 했다.

조사시점은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12척의 배로 일본 수군 함대 133척을 물리친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4km 정도 떨어진 곳이다.

이번 조사가 이뤄졌던 명량해협은 남해와 서해를 잇는 길목으로 많은 배가 왕래했지만 조류가 빨라 난파사고도 잦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연구소는 이번 조사를 위해 최첨단 장비인 수중 초음파카메라와 스캐닝 소나를 이용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조란탄은 철을 이용해 탄환을 만들 여력이 없었던 조선수군의 당시 심정과 상황을 입증하는 중요한 사료”라고 설명했다.

또 조란탄보다 큰 돌포탄인 ‘석환’과 ‘노기’ 등도 발견됐다. 노기는 현대에 사용되는 기관총처럼 함선에 고정시켜 쏘는 석궁형태의 자동화기인 쇠뇌의 방아쇠 부분이다.

이런 전쟁유물들과 함께 발굴된 120여점의 유물 중에는 고려청자가 많았다. 생산시기는 12~13세기가 대부분으로 전남 강진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았다. 이외에도 닻이 물 속에 잘 가라앉도록 하는 닻돌이 10여 점 발굴됐고 선원들이 사용했던 금속 숟가락도 발굴됐다. 이번 발굴에는 기존에 나왔던 총통이나 노기(쇠뇌) 같은 무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김병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명량해협 발굴을 다음달 2일까지 진행한 뒤 최종 조사보고서 작성을 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장소를 바꿔 전남 영광 앞바다에서 수중발굴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