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북한 핵과 노벨평화상/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북한 핵과 노벨평화상/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7-10-09 22:38
업데이트 2017-10-09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역사에서 지우고 싶은 해는 1973년이 아닐까 싶다. 당시 수상자는 미국의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과 북베트남의 레 둑 토 총리였다. 두 사람은 이해 1월 27일 체결된 ‘베트남에서의 전쟁 종결과 평화 회복에 관한 파리협정’을 이끌었다. 미국, 북베트남, 남베트남,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가 협정 주체였다.
키신저는 노벨평화상을 수락하기는 했지만 시상식장에 나타나지 않았고, 레 둑 토는 수상을 거부했다. 이후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는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의 수도 사이공을 점령했다. 노벨위원회가 생각하는 평화와 레 둑 토가 생각하는 평화는 이렇게 달랐다.

국가 간 분쟁의 주역들이 평화상 수상자로 공동 선정된 것은 베트남에 그치지 않았다. 1978년에는 무하마드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과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가, 1994년에는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과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 시몬 페레스 외무장관이 각각 공동 수상했다.

이스라엘과 이집트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은 1948년부터 1973년까지 4차례 전쟁을 벌였다. 그런데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사다트 대통령과 베긴 총리는 1978년 9월 17일 ‘캠프데이비드협정’을 맺는다. 이스라엘은 제3차 중동전에서 점령한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 돌려주고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에서 팔레스타인 자치를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이스라엘도 이집트로부터 수에즈 운하를 마음 놓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는 보장을 얻어 낼 수 있었다. 무엇보다 큰 성과는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다트는 1981년 10월 6일 이집트 군대를 사열하던 중 이슬람 극단주의자의 총탄에 쓰러졌다.

아라파트와 라빈은 1993년 9월 13일 ‘오슬로 협정’에 서명했다. PLO는 이스라엘 점령지에 독립국가를 세우겠다는 목표가 있었고, 이스라엘은 무력으로 맞서고 있었다. 협정은 이스라엘이 PLO를 합법적인 팔레스타인 정부로 인정하고, PLO도 이스라엘을 인정한다는 것이었다. 이번에도 라빈은 2년 뒤인 1995년 이스라엘 극우파에 의해 암살되고 말았다.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선정됐다. 국제사회에 대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결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하지만 노벨상 역사를 보면 북한조차 앞으로 평화상 수상자가 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 그러려면 우리와 핵과 미사일을 폐기하는 협상부터 당장 시작해야 한다.
2017-10-10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