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치광장] 도시재생, 사람을 남겨야 한다/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자치광장] 도시재생, 사람을 남겨야 한다/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입력 2017-09-21 22:46
업데이트 2017-09-21 2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 정부가 5년간 50조원의 공공재원을 도시재생 뉴딜에 투입하겠다고 발표한 후 도시재생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에선 20조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많은 비판과 의문점을 남긴 옛 정부의 4대강 사업을 답습하진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일부에선 대규모 토건사업에서 탈피, 주거복지와 일자리 대책을 망라한 진정한 뉴딜사업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4대강은 사람의 삶의 공간이 배제된 곳에서 건설 기계가 중심이 돼 추진된 사업이다. 사업 파급효과는 일부에 한정돼 지역 전반에 녹아들지 못했다. 일자리 창출도 특정사업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사람이 직접 거주하고, 삶을 영위하는 공간에서 사람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사업이다. 도시재생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의 문제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 다양한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 지역 중심으로 추진되는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효과가 지역 곳곳에 스며들고 파급효과 또한 크다.

도시재생사업은 철저히 사람 중심이어야 하고, 따라서 공공재원 투입의 상당 부분을 지역주체를 육성하고, 사람을 남기는 일에 써야 한다. 이유는 간단명료하다.

첫째, 도시재생사업 주체는 사업 시작부터 끝까지 지역주민이다. 도시재생은 그동안 접하지 못했던 생소한 사업 방식이라 민관 모두 준비가 부족했다. 지금이라도 교육·홍보 등을 통해 주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사업추진 촉매 역할은 도시재생전문가, 지역활동가가 한다. 지역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주체들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하면, 이를 조정·중재하고 해결안을 찾는 건 도시재생전문가와 지역활동가다.

셋째, 도시재생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건 사회적기업, 지역협동조합 등이다. 도시재생사업은 끝이 없다. 결과물을 만들고 그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른 계획이 수립되며 또다시 새로운 사업이 추진된다. 반면 공공재원은 제한돼 있다. 공공재원 투입과 행정 지원이 끝나면 지역 경제 주체들이 자생적으로 도시재생을 이끌어 가야 한다. 사회적기업, 지역협동조합을 적극 지원·육성해야 하는 이유다.

서울시는 131개의 재생지역에서 다양한 주민역량강화 사업을 하고 있다. 내년엔 서울 전 동(洞)에 현장협치형 재생 지원을 위한 지역 전문관을 파견해 도시재생 씨앗을 만들어 가려 한다. 정부도 도시재생에서 사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서울시와 함께 쇠퇴한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동반자가 되길 기대해 본다.
2017-09-22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