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 대통령 “사법부 수장 공백 사태 없도록 해달라” 국회에 요청

문 대통령 “사법부 수장 공백 사태 없도록 해달라” 국회에 요청

오세진 기자
입력 2017-09-17 16:03
업데이트 2017-09-17 16: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에서의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통과 문제를 놓고 여야가 갈등하고 있다. 양승태 대법원장의 임기가 오는 24일까지여서 그 전에는 김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통과돼야 사법부 수장 공백이라는 헌정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가 사정을 두루 살펴 사법부 수장 공백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17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과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17.9.17 연합뉴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17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과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17.9.17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17일 “사법부 새 수장 선임은 각 정당 의 이해관계로 미룰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민주주의 요체인 ‘입법·사법·행정’ 3권 분립 관점에서 봐주시길 바란다”면서 “3권 분립에 대한 존중의 마음으로 사법부 수장을 상대로 하는 인준 절차에 예우와 품위가 지켜지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이날 전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인준 권한을 가진 국회가 사정을 두루 살펴 사법부 수장 공백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고 윤 수석은 덧붙였다.

윤 수석은 또 문 대통령이 “그동안 국회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노력했지만 부족했던 것 같아 발걸음이 더 무겁다. 유엔총회를 마치고 돌아오면 각 당 대표를 모시겠다”면서 “국가안보와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 논의하고 협력을 구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오는 18일 대통령이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출국한 뒤 돌아오면 22일 밤이 되는데 그 사이에 별도로 김 후보자 인준과 관련한 대통령 메시지를 전할 기간이 없고, 그래서 출국 전에 인준 권한을 가진 국회에 마지막으로 호소를 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래는 윤 수석이 대독한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준에 대한 문 대통령의 입장문 전문.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상황이 매우 엄중합니다. 유엔(UN) 총회장으로 향하는 제 발걸음은 한 없이 무겁습니다. 그렇지만 국제 외교 무대에서 한국의 이익을 지키고 한반도,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 노력하겠습니다. 국제 사회가 우리와 함께 평화적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득하겠습니다.

대법원장 후보자의 국회 인준 문제도 제 발걸음을 무겁게 합니다. 현 대법원장 임기는 오는 24일 끝납니다. 그 전에 새로운 대법원장 선임 절차가 끝나지 않으면 사법부 수장 공백사태라는 헌정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집니다.

사법부 새 수장 선임은 각 정당간의 이해관계로 미룰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민주주의 요체인 ‘입법, 사법, 행정’ 3권 분립 관점에서 봐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3권 분립에 대한 존중의 마음으로 사법부 수장을 상대로 하는 인준 절차에 예우와 품위가 지켜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인준 권한을 가진 국회가 사정을 두루 살펴 사법부 수장 공백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국회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노력했지만 부족했던 것 같아 발걸음이 더 무겁습니다. 유엔총회를 마치고 돌아오면 각 당 대표를 모시겠습니다. 국가안보와 현안문제 해결을 위해 논의하고 협력을 구하겠습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