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끝내 유작으로 자신을 어루만진 ‘광마’

끝내 유작으로 자신을 어루만진 ‘광마’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9-15 17:58
업데이트 2017-09-15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억마저 지우랴/마광수 지음/어문학사/388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아 쓰발, 더러운 세상 잘 떠났다.”

지난 5일 세상을 등진 마광수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독설이 ‘뒤늦게’ 날아들었다. 그의 사후 일주일 뒤 나온 ‘추억마저 지우랴’라는 유고작을 통해서다. 고인이 세상을 떠나기 직전 집필한 단편소설 28편을 묶은 책에는 권태, 외로움, 죽음에 대한 암시가 곳곳에 배어 있다.

자신의 사망 후를 가정하고 쓴 ‘마광수 교수 지옥으로 가다’라는 작품에서 고인이 된 마 전 교수의 영혼이 내던진 한마디다. 참 절묘하다. 섹스와 탐미적 쾌감을 글로 쓰며 자유와 평화를 추구했으나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괴로워했던 그가 “변태”라고 손가락질할 땐 언제고 죽고 나니 자신의 저작이 품귀현상을 빚는 것을 보며 저렇게 뇌까렸을 법하다.

생전에는 문단과 학계에서 따돌림당하며 외롭게 지냈지만 소설 속에서 고인은 자신의 진정성을 인정받고 파격적으로 노벨문학상까지 받는 것으로 스스로를 위로한다. 그러면서도 마음속 응어리는 쉽게 풀리지 않았던 것 같다. “이문혈이라는 놈은 위로하는 척하면서 끝까지 그 지긋지긋한 일장 훈시를 늘어놓는다”며 ‘뒤끝’을 보이는가 하면(마광수 교수 지옥으로 가다), “선생님이 하신 일은 정치적 투쟁만큼이나 귀중한 것이었어요. 선생님은 인간의 ‘마음’에 관해서 주로 쓰셨으니까요”라고 자평하기도 한다(천국에 다녀오다).

‘고통의 결과’에서는 행복 혹은 쾌락에 대해 끊임없이 갈망하며 이에 도달하지 못하는 고통이 어떻게 인간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지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매일 밤 꿈속에서 알 수 없는 남자와 섹스를 하는 주인공은 늘 절정의 순간에 도달하기 전 잠에서 깬다. 그는 맛보지 못한 절정에 목말라하며 시름시름 앓다가 마지막 쾌감을 영원히 남기기 위해 자살을 택한다.

“관념에 빠져 있는 것에 지쳐 탐미적 쾌감이나 페티시즘을 추구해 왔을 뿐, 진짜 즉물적이고 동물적인 야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2013 즐거운 사라’)고 고백한 그는 시대를 앞서 나간 반항아처럼 보였으나 외로워했고 끊임없이 이해를 갈구했다. 표지 그림은 서울문화사가 펴낸 1991년판 ‘즐거운 사라’의 그림을 색깔만 바꾼 것으로 고인이 직접 그렸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9-16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