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성호의 문학의 길목] 비평의 새로운 역할을 위하여

[유성호의 문학의 길목] 비평의 새로운 역할을 위하여

입력 2017-09-04 23:52
업데이트 2017-09-05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문학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진단이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다. 젊은 시인 작가들의 작품집이 기대 이상의 선전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가 문학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던 것은 그것이 다매체 시대라는 흐름에서 뒤처진 낡은 장르라는 것이었다. 심지어 그것은 소멸이나 폐기를 코앞에 둔 장르처럼 생각되기도 했다.

하지만 문학은 이처럼 현재진행형이고, 여전히 왕성한 작가군(群)과 작품이 문학시장을 달구고 있으며, 예술적 본가로서의 권역과 직능을 누구에게도 양도하지 않는다. 문학만이 고유하게 가지는 미학적 원리가 우리에게 삶과 현실에 대한 독자적인 사유와 비전을 한결같이 부여해 주고 있는 것이다. 그 사유와 비전의 바탕을 이루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끝없는 질문이며, 문학마저 공공연한 상품 미학의 후광을 입고 있는 시대에 대한 근본적 저항일 것이다. 결국 우리는 그것이 문학만의 존재 의의이자 이 공공연한 위기의 시대에 문학이 자신의 몫을 지켜 가는 양보할 수 없는 지표라고 믿는다.

최근 우리 문학의 지형은 1990년대 이후 빠른 주기로 대체되었던 담론들의 주류성이 급격히 소멸하면서 담론적 귀속성보다는 작품 하나하나의 미학적 완결성이 중시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런 가운데 우리 문학 작품에는 미학적 완성도를 위해 필요 이상으로 과잉되는 부분이 생겨나기도 했고, 문학이 마땅히 지켜야 할 미덕임에도 빈곤해지는 부분도 발생하게 됐다. 시대와 조건이 달라져도 문학이 근본적으로 지켜 나가야 할 위상과 가치는 어떤 것인가 하는 고전적이고 원론적인 성찰이 필요한 것도 바로 이러한 분위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그것은 한때 주류적이고 대표적인 위상을 차지했던 ‘문학의 시대’에 대한 철없는 향수와 그리움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지금의 시대적 상황과 문학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적 통찰을 축적해 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우리 문단에서 가장 두드러지고 있는 현상 가운데 하나는 비평적 규준의 무분별한 다양화에 있다. 이는 물론 하나의 강력한 담론이 타자를 억압하고 중심 권역을 형성했던 시대에 대한 반성 형식으로 나타난 양상 중 하나일 것이다. 지금 우리 시대가 다양한 문화 간의 교섭과 충돌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념과 진영 사이를 가르고 있던 구획들도 느슨해져 가고 있는 만큼 그러한 규준의 이완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비평적 규준의 다양화 자체가 문학의 다양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것은 오히려 좋은 문학과 그렇지 않은 문학의 구별조차 없애 버릴 무반성적 상대화의 위험을 안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 문학은 새로운 지형에 대한 제언이나 대안적 담론 제출이 부족한 상황을 가혹하게 겪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쟁점 빈곤, 화제 부재의 상황은 달리 말하면 낡고 진부해 보이던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수행하기에 알맞은 역설적 토양이 되기도 한다. 오히려 지금이 지나친 본질주의적 환원을 경계하면서도 문학을 둘러싼 다양한 컨텍스트에 대한 폭넓은 반성과 재인식의 적기(適期)라 할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 아닌가 한다. 그 점에서 고전이나 전통에 대한 재인식 노력은 매우 중요할 것이며, 비평 언어가 전문성과 대중성을 아울러 견지하면서 문학에 대한 사유의 장(場)을 넓혀 가는 과정 또한 퍽 중요할 것이다. 비평 언어가 수평적이고 쌍방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한 시대의 폭넓은 담론적 장을 만들고, 그중에서 더욱 설득력 있고 날카로운 비평 언어가 선별적으로 우리 문학에 수렴돼 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대사(代謝) 과정일 테니까 말이다. 특별히 지난 시대에 블랙리스트니 뭐니 하면서 유독 정치권력에 휘둘려 온 우리 문학의 당당한 자기 개진을 위해서라도 비평 언어의 이러한 새로운 역할은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2017-09-0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