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백승종의 역사 산책] 독서의 힘

[백승종의 역사 산책] 독서의 힘

입력 2017-07-30 17:44
업데이트 2017-07-31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1909년 10월 26일 청년 안중근은 조국의 운명을 구하기 위해 하얼빈 역두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처형했다. 그로 말하면 무사이기에 앞서 독서인이었다. 아마 여러분은 안중근이 뤼순의 옥중에서 쓴 뜻깊은 글귀 하나를 보았을 것이다. “일일부독서(一日不讀書)면 구중생자극(口中生刺棘)”이라 했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자라난다는 뜻이다. 안중근이 얼마나 독서를 소중히 여기는 선비였는지를 알 수 있다. 그는 독서를 통해 사물의 이치를 깨달았고, 세상의 흐름을 읽었다. 그리하여 뜻있는 사람으로 살기를 결심했던 것이다. 안중근은 옥중에서도 날마다 글을 읽고 또 썼다.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그는 ‘동양평화론’을 집필했다. 저술을 마치기 전에 그가 형장의 이슬이 되고 만 것은 실로 유감이었지만, 그가 남긴 유고를 살펴보면 저술의 목적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안중근은 꿈에도 동양평화를 염원했다.

그는 한국, 일본, 중국을 하나의 연방으로 만들어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항하기를 바랐다. 동양 3국이 서로 평화를 보장하며, 단일한 경제, 군사공동체를 구성해 길이 번영하기를 소망했다. 그는 마지막까지도 이처럼 원대한 계획을 주밀하게 구상했다. 실로 고원한 경지였다. 보통 사람 같으면 이토 히로부미를 증오했다 해도 사살하기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설사 운이 좋아 일이 성사됐더라도 일제의 모진 고문과 회유책에 휘둘리기 십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안중근은 저들의 모든 기도를 부끄럽게 만들었다. 그때 안중근은 30을 갓 넘긴 청년에 불과했으나, 그의 심지는 강철 같았다. 이것은 결코 물리적 힘이 아니었다. 독서와 성찰의 시간을 통해 끊임없이 내면을 연마한 결과라고 볼 수밖에 없다.

조선시대에는 끝내 충성스런 마음을 잃지 않은 선비들이 많았다. 모진 고문과 형장(刑杖)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꺾이지 않았다. 제아무리 간교한 술수를 부려 꾀어도 그들은 넘어가지 않았다. 불요불굴의 혼이요, 선비다운 삶의 완결이었다. 누구라도 사나운 매질이 두렵고, 죽기보다 무서운 것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청년 안중근 같은 선비들이 적지 아니 존재했다. 멀리는 청나라 심양에 끌려가서도 지조를 잃지 않고 죽음을 달게 받은 ‘삼학사’들이 있었다. 가까이는 일제의 끝없는 회유와 협박, 모진 고문에도 불구하고 한마디의 거짓말도 하지 않았던 도산 안창호 선생이 있었다. 그들의 이름은 서로 달랐으나 뜻으로 보면 하나였다.

그것이 참된 선비의 운명이었다. 선비를 선비답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을까. 평소 그들이 사랑한 책의 힘이었다. 권력과 금전의 유혹에서 벗어난 선비를 만들고, 물리적인 힘으로도 꺾지 못할 강단을 만든 것이 바로 책이었다니! 이야기가 너무 비장해진 것 같아서 미안한 생각이 들 지경이지만, 독서의 힘이 그처럼 강했다는 사실은 여간 놀라운 일이 아니다.

내가 말한 책이란 오락을 위한 가벼운 것이 아니었다. 요리나 가사 등의 실용서도 아니었다. 돈 벌기 위한 처세서도 아니었다. 일상의 현실적 요구와는 거리가 먼 책들이었다. 안중근을 포함한 지조 있는 선비들을 사로잡은 책들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인간의 도리를 설명하고, 삶의 목적을 말하며,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온 내력을 기록한 책이었다. 요새 말로 문학과 역사와 철학을 다룬 인문서적들이었다. 올여름에는 우리도 이런 책을 좀 읽어 보자. 혼탁한 이 세상이 달라져도 조금은 달라지지 않겠는가.

2017-07-31 26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