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준식의 거듭나기] 피해의식 넘어서기

[최준식의 거듭나기] 피해의식 넘어서기

입력 2017-07-23 17:36
업데이트 2017-07-23 17: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미국 뉴욕의 타임스스퀘어에 일본 군함도(하시마섬)의 진실을 알리는 영상이 전광판을 통해 상영되었다. 15초짜리 영상으로 7000여회 노출되었다고 한다. 이를 주도한 사람은 알려진 대로 서경덕 교수이다. 서 교수는 몇 년 전에도 같은 곳에 독도 영상을 올려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밝혔다.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이런 사건을 접할 때마다 나는 서 교수의 순수한 애국심에 감동을 많이 받는다. 그러나 한편으로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것을 피할 길이 없다. 왜냐하면 이런 일을 해서 나쁠 것은 없지만 효율성에 대한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어떤 의문일까. 그것은 이 타임스스퀘어를 걷고 있는 행인 중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한국의 이런 현실에 관심을 가질까 하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황 하나를 가정해 보자. 만일 광화문에 있는 전광판에 어떤 일본인이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는 일본 땅’이라는 영상을 띄웠다고 상상해 보자. 그곳을 지나는 한국인 중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영상에 관심을 가질까. 아마도 대부분이 ‘그 섬이 일본 것이든 중국 것이든 우리는 관심 없다. 당신들끼리 잘해 보라’고 하지 않을까. 군함도 강제징용도 마찬가지이다. 우리에게는 쓰라린 과거이지만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는 별 호소력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런 생각을 해 본다. 그런 홍보를 하려면 독도나 군함도처럼 우리가 피해 본 것은 피하고 긍정적인 것을 올리면 어떻겠느냐는 것이다. 긍정적인 것을 올린다고 해도 타임스스퀘어를 지나는 행인이 그 광고를 볼 것 같지는 않지만 이왕 돈을 쓰기로 했다면 긍정적인 게 낫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긍정적인 것이란 어떤 걸까. 이를테면 이런 거다. ‘세계에서 금속활자를 가장 먼저 발명한 나라, 한국’ 혹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을 산출한 나라, 한국’ 같은 것 말이다. 이왕이면 이런 걸 올려 놓자는 것이다. 이런 생각은 내가 갑자기 한 것이 아니라 그동안 내내 가슴에 담고 있었다. 우리 한국인들은 너무나도 자기 문화를 홍보하지 못한다. 오죽하면 경희대의 페스트라이시 교수가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훌륭한 문화를 어떻게 하면 해외에 알리지 않을 수 있을까에 대해 고심한 사람들 같다’고 했을까.

특히 한국이 금속활자의 최초 발명국이라는 것이 그렇다. 이 일을 세계 최초로 했다는 것은 엄청난 것이다. 우리는 유럽처럼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를 널리 발전시키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초란 대단한 것이다. 금속활자란 당시 세계 최고의 문명물(文明物)이다. 따라서 이런 것을 만들어 낸 고려는 당시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외국인 친구에게 물어보라. ‘누가 금속활자를 최초로 발명했느냐’고 말이다. 그러면 백이면 백 모두 구텐베르크라고 한다. 사정이 왜 이렇게 됐을까. 원인은 간단하다. 우리가 홍보를 안 했기 때문이다. 우리 자신이 금속활자가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몰라 홍보를 등한시한 것이다. 현존하는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본도 그렇다. 이것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직지심체요절’이라는 책이다. 내가 강의할 때 이 책이 어디 있는지 아느냐고 물으면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파리라고 이야기하고 이걸 프랑스 사람들이 훔쳐 갔느냐 아니면 사 갔느냐고 물으면 전부 훔쳐갔다고 말한다. 또 틀렸다. 훔쳐 간 것은 조선왕조의궤이고 이 책은 사 가지고 간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우리 문화를 모른다. 모르니 홍보할 생각을 안 한다. 그리고 공연한 피해의식만 갖는다. 군함도의 강제징용 문제도 그렇다. 이 사건은 다른 나라 사람들이 관심 가질 리가 없다. 이 문제는 우리끼리만 혀를 깨물어 가며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게 하자고 다짐하면 된다. 대신 밖으로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면을 알리자. 예를 들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보유 순위로 세계 4위이고 아시아에서는 1위인 나라, 한국’, 이런 것 말이다. 그런데 한국인 자신들이 이걸 모르니 어찌 알릴 수 있겠는가.

2017-07-24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