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나가사키시 군함도(하시마섬)에 세운 가장 최근의 안내판에도 ‘강제징용’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주 군함도와 인근의 다카시마 섬을 둘러본 한국 홍보 전문가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이후 군함도에 안내판 4개를 설치했는데, 이 가운데 가장 최근 세운 것으로 보이는 안내판에도 조선인 강제징용에 대한 내용은 볼 수가 없었다”고 20일 말했다.
군함도의 새 안내판에는 ‘군함도 탄광은 메이지 시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 중 하나이며 서양 산업혁명의 흐름을 수용해 공업국으로의 토대를 구축했다’고 설명돼 있고, 연대 표기는 메이지 시대인 ‘1850년부터 1910년까지’로 적혀있다.
서 교수는 이를 유네스코의 권고를 무시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일본은 군함도와 다카시마 등의 등재를 신청할 때 연도를 ‘1850년부터 1910년까지’로 하려고 했다. 그러다 한국과 국제사회가 반발하자 강제징용 시기(1940∼1945년)까지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서 교수는 “일본은 등재 이후 자신들이 약속한 어떤 것도 지키지 않고 있다”면서 “새 안내판에 강제징용 문구나 연도에서 시기를 강제징용이 종료된 1945년까지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 그 증거”라고 설명했다. 일본이 강제징용을 감추려고 꼼수를 쓰고 명백한 역사왜곡을 했다는 것이다.
4만여 명의 조선인이 강제징용 됐던 다카시마 섬도 상황은 비슷하다. 서 교수에 따르면 이 섬에 새로 세운 안내판에 강제징용이라는 단어가 없고 석탄자료관 입구 좌측에 있는 연표에는 강제징용 시기가 아예 빠져 있다.
서 교수는 올해 말까지 일본 정부가 약속한 강제징용을 알리는 정보센터 건립 등이 실시되지 않으면 군함도를 방문해 모은 자료를 유네스코 측에 보내 ‘군함도 세계유산 철회운동’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군함도 항공사진
서경덕 교수 제공
군함도의 새 안내판에는 ‘군함도 탄광은 메이지 시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 중 하나이며 서양 산업혁명의 흐름을 수용해 공업국으로의 토대를 구축했다’고 설명돼 있고, 연대 표기는 메이지 시대인 ‘1850년부터 1910년까지’로 적혀있다.
서 교수는 이를 유네스코의 권고를 무시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일본은 군함도와 다카시마 등의 등재를 신청할 때 연도를 ‘1850년부터 1910년까지’로 하려고 했다. 그러다 한국과 국제사회가 반발하자 강제징용 시기(1940∼1945년)까지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서 교수는 “일본은 등재 이후 자신들이 약속한 어떤 것도 지키지 않고 있다”면서 “새 안내판에 강제징용 문구나 연도에서 시기를 강제징용이 종료된 1945년까지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 그 증거”라고 설명했다. 일본이 강제징용을 감추려고 꼼수를 쓰고 명백한 역사왜곡을 했다는 것이다.
4만여 명의 조선인이 강제징용 됐던 다카시마 섬도 상황은 비슷하다. 서 교수에 따르면 이 섬에 새로 세운 안내판에 강제징용이라는 단어가 없고 석탄자료관 입구 좌측에 있는 연표에는 강제징용 시기가 아예 빠져 있다.
서 교수는 올해 말까지 일본 정부가 약속한 강제징용을 알리는 정보센터 건립 등이 실시되지 않으면 군함도를 방문해 모은 자료를 유네스코 측에 보내 ‘군함도 세계유산 철회운동’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