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런웨이 조선] 방망이질에 때가 쏙, 웃음 쑥… 여인들의 ‘살롱’

[런웨이 조선] 방망이질에 때가 쏙, 웃음 쑥… 여인들의 ‘살롱’

입력 2017-07-03 17:30
업데이트 2017-07-04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4) 빨래터

여성을 가사노동에서 해방시킨 일등공신은 ‘세탁기’다. 빨래를 끝내고 양팔을 벌려 “빨래 끝~”이라고 외치는 광고를 보면서, ‘행복 시작~’이라는 느낌이 드는 것은 빨래를 해 본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는 감정이다.
이미지 확대
‘단원 풍속도첩’ 빨래터. 냇가에서 빨래하는 아낙네들의 모습에서 노동의 힘겨움이 느껴지지 않는다. 방망이질하며 수다 삼매경에 빠진 여인네들에게 빨래터는 일상의 스트레스도 벗겨 내는 곳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단원 풍속도첩’ 빨래터. 냇가에서 빨래하는 아낙네들의 모습에서 노동의 힘겨움이 느껴지지 않는다. 방망이질하며 수다 삼매경에 빠진 여인네들에게 빨래터는 일상의 스트레스도 벗겨 내는 곳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빨래는 여성들의 몫이었다. 빨래가 집 안에서만 하는 일도 아니고 노동의 강도가 약한 것도 아닌데. 그럼에도 여성들의 몫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의생활의 한 부분이기 때문일 것이다.

전통시대에는 대부분의 옷을 빨 때 바느질된 부분을 뜯어서 빨래하고 다시 옷을 지었다. 또 이불처럼 자주 세탁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홑청을 씌워 사용한 다음 홑청을 뜯어내 빨았다. 오염을 없애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물속에서 빨랫감을 흔들거나 손으로 비비고 발로 밟는 것이다. 그러다 돌이나 방망이 등의 도구를 사용하면서 힘도 덜 들고 때도 잘 빠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방망이질이 비벼 빠는 방식보다 옷감을 덜 손상시킨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지금 흔히 쓰고 있는 통이 돌아가는 세탁기의 원리가 바로 방망이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이미지 확대
빨래하는 아낙네들. 경복궁 향원정의 열상진원(洌上眞源) 샘에서 빨래하는 아낙들의 모습을 찍은 흑백 원판 필름. 1906~7년 한국 등을 방문한 독일 장교 헤르만 산더가 일본인 사진작가 나가노를 고용해 촬영한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빨래하는 아낙네들. 경복궁 향원정의 열상진원(洌上眞源) 샘에서 빨래하는 아낙들의 모습을 찍은 흑백 원판 필름. 1906~7년 한국 등을 방문한 독일 장교 헤르만 산더가 일본인 사진작가 나가노를 고용해 촬영한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조선시대에는 명주를 비롯해 무명이나 모시로 대부분의 옷을 지었다. 그중에서도 사시사철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했던 옷감은 무명이다. 무명은 원래 베이지색에 가까운 소색인데 빨면 빨수록 탈색이 되어 점점 하얘진다. 빨래만으로 흰색을 낼 수 없을 때에는 잿물을 이용해 적어도 세 번 이상 삶아 하얗게 만든다.

이렇게 해도 성에 차지 않을 때에는 삶아 놓은 옷감을 다시 울퉁불퉁한 나무판에 억척스럽게 문지르거나 판판한 돌 위에 놓고 무거운 방망이로 힘 있게 두드린다. 충분히 때가 빠지고 하얗게 되면 흔들어 헹군 후 비틀어 짠다. 그런 다음 빨랫감을 햇볕이 잘 드는 빨랫줄에 널어놓는다. 빨래가 다 마르고 난 뒤에는 다시 다듬잇돌에 올려놓고 둥근 나무방망이로 두드린다. 주름을 펴기 위한 다듬이질이기도 하지만 풀을 먹여 방망이질을 하면 광택이 난다. 이는 올 사이로 풀이 스며들어 막을 형성하면서 일종의 코팅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다듬이질이 순박했던 무명이나 모시를 화려한 비단으로 탈바꿈시킨다. 결국 단순히 빨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후속 조치를 통해 광택이 있는 가장 고급의 직물을 만들어 내는 공정이다.

우리나라의 직조기술은 영조 대에 이르러 극히 제한되었다. 왕실에서조차 검약을 숭상하며 비단을 짜지 못하도록 했을 뿐 아니라 직기 자체를 없애고자 했다. 더욱이 왕비의 법복(法服)인 적의를 입을 때 갖추어야 할 후수(後綬)까지도 짜지 못하도록 했으니 일반 백성이 비단을 입을 기회는 더욱 희박해졌다. 그렇다고 남편의 의복을 소박한 무명만, 단순한 모시만 입히고 싶은 여인이 과연 있었을까? 더욱이 자신의 수고로 인해 남편의 옷이 광택이 흐르는 비단처럼 보인다면 누구라고 기꺼이 그런 수고로움을 견디지 않았을까.

여기에 새롭게 옷을 꿰맬 때 내 아이가 얼마나 컸는지, 내 남편의 체중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하면서 새롭게 옷을 만들기도 하고, 또 유행을 좇아 품도 줄이고 고름의 길이도 줄여 새로운 디자인을 시도한다면 그저 빨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새로운 옷을 해 입히는 기쁨도 만만치 않았으리라.

그렇다고 방망이질이 신나기만 했을까? 한겨울 찬물에 손을 담가야 하는 빨래라면 그 고통은 또 얼마나 컸을까? 그럼에도 개항기 외국인들은 ‘한양은 거대한 세탁소’라고 할 정도로 조선여성들의 빨래 사랑은 한겨울 추위도 녹일 수 있는 그 무엇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김홍도의 빨래터 풍경을 보자. 한쪽에서는 빨래를 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머리를 땋고 있다. 동네 돌아가는 이야기도 듣고 자신의 속 타는 이야기도 풀어내고, 더운 여름 훌훌 벗고 목욕도 할 수 있는 곳. 빨래터야말로 여인들의 진정한 휴식공간이었다.
이미지 확대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힘든 노동이 즐거운 ‘살롱’으로 바뀌고 있음은 그림 속 여인들의 얼굴 표정에 드러난다. 방망이를 두드리는 두 여인 중 한 여인은 방망이를 그저 습관적으로 두드리는 것일 뿐. 정작 빨래터에서 하고 싶은 것은 이런저런 이야기인 것 같다. 얼굴을 완전히 돌리고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빨래로 인한 힘겨움보다는 즐거운 기색이 역력하다. 이야기를 듣는 여인도 얼굴에 웃음이 묻어난다.

또 물속에 들어가 있는 여인 역시 속바지를 걷어 올리고 빨래를 비틀어 짜면서 즐거운 표정이다. 이제 빨래를 꼭 짜서 햇볕이 잘 드는 바위에 널어 두면 빨래는 끝이 난다. 남편의 입신이 나의 노동으로 바뀐다는 생각 때문일까. 빨래터의 여인 그 누구에게서도 힘든 표정을 찾을 수 없다.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17-07-04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