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요 포커스] 장애학생 꿈 찾아주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강영순 교육부 지방교육지원국장

[금요 포커스] 장애학생 꿈 찾아주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강영순 교육부 지방교육지원국장

입력 2017-06-22 21:38
업데이트 2017-06-22 2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영순 교육부 지방교육지원국장
강영순 교육부 지방교육지원국장
내년부터 장애학생들이 다니는 모든 특수학교에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수업을 개선하고,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다. 한 학기 동안 중간·기말고사와 같은 지필고사를 치르지 않는 대신 오전에는 수업, 오후에는 동아리·예체능 활동, 진로체험과 같은 비교과 활동을 하는 식이다. 2013년부터 시범운영을 거쳐 지난해 전면 시행됐다.

특수학교는 지난해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추진 과정에서 우려도 컸다. 일반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특수학교가 이미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데다가, 시험도 보지 않고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는 체제도 구축됐는데 굳이 일반학교처럼 자유학기제를 모두 해야 하느냐는 것이었다. 특히 장애가 심한 학생들까지 자유학기 활동에 참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말이 많았다.

그러나 2016년 20개교에서 출발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가 전체 특수학교 73%인 120개교로 확대된 지금은 시선이 많이 달라졌다. 학생들의 다양한 경험 확대, 소질과 적성 개발, 교사들의 수업개선 및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강화 등 성과를 거두고 있음이 연구·희망학교 운영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이번 달 21일 한국선진학교에서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보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자유학기 활동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과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모형을 비롯해 그동안 추진 성과들이 발표됐다. 내년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특수학교와 시·도교육청 관계자들의 관심이 무척 높았다. 자유학기제를 준비하는 특수학교가 참고할 만한 좋은 본보기들도 충분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선진학교의 한 교사는 “담당 교사만 힘들지 않게 모든 교사들이 함께 수업 개선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사회의 여러 기관과 연계해 추진해 보니 이제 길이 보이는 것 같다”고 했다.

특수학교 정책이라고 일반 교육정책과 특별히 다르게 추진되지는 않는다. 장애학생이나 비장애학생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는 같다.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여건을 충실히 조성하되, 장애 특성과 정도를 고려한 지원을 해 주는 게 특수교육의 기본 방향이다. 다시 말해 장애를 이유로 교육 기회나 활동에서 제한·배제·분리·거부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교육부는 2018년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차질 없는 준비를 하고 있다.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집합연수와 원격연수 과정 운영, 자유학기 활동 교수·학습자료 개발, 컨설팅단 운영 등으로 자유학기제 담당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 밖에 장애인 일자리 등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생들이 다양한 진로체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현장 지원체제를 구축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교육의 공정성 제고와 계층사다리 복원을 위해 장애학생 교육 여건을 개선하겠다고 공약했다. 장애학생들에게는 특히 장애 유형과 정도를 고려한 진로와 직업교육 지원이 중요한 과제다. 고교 졸업 후 대부분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 학생들과 달리 장애학생은 취업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다. 자유학기제를 통해 중학교 과정에서부터 진로탐색을 하고 적절한 취업으로 연계되도록 지원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한국선진학교 학생들의 인터뷰 동영상이 기억에 남는다. 자유학기 활동을 시작할 무렵 학생들은 ‘꿈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2년 동안 자유학기제를 경험하고 프로게이머, 댄서, 테러진압 경찰, 바리스타 등 당차게 자신의 꿈을 말하는 장면은 감동으로 다가왔다. 앞으로도 다양한 자유학기 활동을 통해 진로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2017-06-23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