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요 포커스] 재외동포의 외연을 확대하자/주철기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금요 포커스] 재외동포의 외연을 확대하자/주철기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입력 2017-06-08 23:34
업데이트 2017-06-09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주철기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주철기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한국말을 잘 못하지만 저는 한국인입니다. 저는 한인 입양인입니다.”

최근 재외동포재단 후원으로 서울에서 열린 제5차 세계한인정치인포럼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은 예시카 폴피에르 스웨덴 중도당 국회의원이 남긴 말이다. 한국 이름 김진달래인 그는 1971년 서울의 한 경찰서 앞에서 버려진 채 발견돼 보육원에 맡겨졌다가 이듬해 스웨덴으로 입양됐다. 그녀는 스웨덴 부모님의 보살핌 아래 훌륭하게 성장했고 2006년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후 3선 의원으로 당당하게 모국을 찾았다.

장 뱅상 플라세 전 프랑스 국가개혁담당장관 역시 7살 어린 나이에 프랑스로 입양됐다. 프랑스 녹색당 정치인으로 활약하면서 부총재를 역임한 후 2011년부터 에손주 상원의원을 맡는 등 프랑스 사회의 리더로 꼽힌다. 플라세 전 장관은 최근 방한 강연에서 “한국으로부터 버림받았기 때문에 한국에 대해 좋은 생각이 없었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마음의 평정을 얻고 한국에 대한 그리움을 갖게 됐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어 “뿌리를 잊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 앞으로 한국과 프랑스가 더 가깝고, 교류하며 나아갈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얘기했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시작된 입양 1세대는 전 세계 약 20만명으로 늘어, 현지에서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입양인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듯 어린 시절 희미한 기억을 가지고 모국을 떠났지만 현지에서 훌륭하게 성장해 거주국 주류사회에서 리더로 활동하고 있는 입양동포가 많다. 적지 않은 입양동포들은 글로벌 한민족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를 바라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입양동포는 그간 재외동포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들 역시 재외동포 이민사회의 한 축을 이루고 있지만 우리의 관심과 지원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올해로 재외동포재단은 창립 20주년을 맞는다. 세계화, 정보화가 가속되고 국경과 이념을 초월한 글로벌 시대에 전 세계 720만명 재외동포는 대한민국의 주요한 인적 자산이다. 재외동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재외동포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재외동포의 외연 확대에 대해서도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민족의 피’는 흐르지만 재외동포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던 이들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글로벌 한민족 공동체’의 일원으로 포용해야 할 때다. 20만명에 이르는 해외 입양동포를 비롯해, 고려인들 중 무국적자로 남아 있는 이들, 재일 귀화인, 또 무국적 조선적 재일동포 그리고 전 세계 속의 조선족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들이 그동안 ‘글로벌 한민족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데 걸림돌이 되었던 점들을 조명하고 사회적인 공감대를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 재단 주최로 오는 27일부터 3일간 열리는 ‘세계한인학술대회’에서는 국내외 재외동포 관련 학자, 관련 단체 및 비영리기관(NPO)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동포 사회의 현황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또한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 안정을 위해 재외동포들이 도울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한인사회의 세대교체 등 지역별로 재외동포 사회가 직면한 상황을 조명한다. 국내 체류 고려인의 정착 개선 문제 등 모국의 적절한 지원 방안, 재외동포 관련 제도와 정책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토론할 예정이다.

새 정부는 글로벌 한민족 공동체의 소중함을 이해하고, 재외국민보호법 제정과 재외국민 참정권 확대, 재외동포 전담기구 확대 등 재외동포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재외동포의 외연 확대는 오늘날 국가 경쟁력을 위한 중요한 과제가 됐다. 모국과 재외동포 사회의 긴밀한 관계를 다지며 글로벌 한민족 공동체를 발전시키는 것은 조국의 평화 통일과 동북아 평화 안정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 나가는데 큰 힘이 될 것이다.
2017-06-09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