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분황사 석탑 사리·김시습 사리 등 불교계로 돌아간다

분황사 석탑 사리·김시습 사리 등 불교계로 돌아간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7-06-01 18:14
업데이트 2017-06-01 19: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과 원소장처·조계사 품으로…9일 조계사 친견법회서 공개

국·공립박물관 소장 129과도
2019년까지 장기대여 방식 전환
이미지 확대
2005년 경남 합천 해인사 보경당에서 열린 국내 최고의 목조불상인 통일신라시대 쌍둥이 비로자나불·진신사리 친견 법회. 서울신문 DB
2005년 경남 합천 해인사 보경당에서 열린 국내 최고의 목조불상인 통일신라시대 쌍둥이 비로자나불·진신사리 친견 법회.
서울신문 DB
국가 소유의 사리가 무더기로 불교계에 되돌려진다. 1일 조계종 총무원 등 불교계에 따르면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사리 4과와 부여 무량사 김시습 부도사리 1과 등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 보관 사리 40과가 원소장처와 조계사로 돌아간다.
오는 9일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서 원소장처로 반환되는 부여 무량사 김시습 사리.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제공
오는 9일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서 원소장처로 반환되는 부여 무량사 김시습 사리.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제공
2019년까지 국공립박물관 소장 사리 129과도 장기 대여 방식으로 원소재지 등에 반환된다. 조계종은 사리 반환을 기념해 9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 별관에서의 이운식에 이어 11시 30분부터 조계사에서 ‘대한민국 국운 융성을 위한 사리 친견법회’를 봉행하고 반환된 사리를 공개한다.
오는 9일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서 원소장처로 반환되는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사리 4과.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제공
오는 9일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서 원소장처로 반환되는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사리 4과.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제공
반환되는 사리 40과 중 소장처가 명확한 김시습 사리와 분황사 모전석탑 사리는 7월 25일까지 친견 법회가 끝난 뒤 원소장처인 무량사와 분황사로 돌려보낼 예정이다. 소장처가 불분명한 백자사리합 사리 1과와 청동원통형사리합 사리 1과, 청동제사리기 사리 33과 등 35과는 일단 조계사에 봉안한다.

이 가운데 조선시대 생육신의 일인으로 ‘설잠’이란 법명을 받아 무량사에서 입적한 김시습(1435~1493) 사리와 현존 최고(最古)의 신라석탑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제30호)에서 수습된 사리 4과가 가장 눈길을 끈다. 김시습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세조에게 반발해 출가, 무량사에 주석하다 입적해 무량사 부도탑에 사리가 봉안된 인물이다. 일제강점기 폭우로 부도탑이 무너져 일본인들이 사리를 부여박물관으로 이관했다. 분황사 모전석탑도 1915년 일본인들이 탑 해체·수리 과정에서 발견했고 이후 경주박물관이 보관해 왔다고 한다.

이번 사리 반환은 지난해 5월 불교계와 정부가 3년에 걸쳐 국공립박물관에 있는 사리를 장기 대여 방식으로 원소재지에 반환하기로 협의한 데 따른 것이다. 이 가운데 1차로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40과가 반환되는 것이다. 조계종 측은 “비록 ‘완전한 반환’은 아니지만 수장고에 보관돼 있던 사리들이 제자리를 찾아 예경의 대상인 성보로서 본래 의미를 되찾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불교에서 사리는 부처님 가르침과 그 제자들인 불법승 삼보의 일체화이자 부처님이 영원불변의 존재임을 실제로 보여 주는 신앙의 결정체로 여긴다. 사리를 마주함은 부처님을 친견하는 것이고 사리에 합장함은 불법을 지키고 따르겠다는 보리심의 발로로 인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처님과 스님 사리가 불교 성보(聖寶)로 인식되지 못한 채 문화재로 관람 대상에 머물고 있는 데 대해 불교계의 불만이 쌓여 왔다.

불교계는 이번 반환을 계기로 제자리를 찾지 못한 사리들을 모두 불교계로 환수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달 24일 법주사에서 열린 조계종 교구본사주지협의회 제50차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성보인 사리는 영구 임대가 아니라 반드시 반환돼야 하며 반환을 위해 총무원이 더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는 주문을 쏟아냈다. 이에 대해 조계종 총무부장 지현 스님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시도립박물관 소장 사리도 파악해 이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7-06-02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