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어느 ‘중규직’의 고백/황성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어느 ‘중규직’의 고백/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7-05-25 20:52
업데이트 2017-05-25 2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이 51세의 김영자(가명)씨. 일하는 곳은 모 공공기관. 누군지 특정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하는 일은 밝히지 못한다. 공공기관 무기계약직, 줄여서 ‘공무직’으로 일하고 있다. 어떤 때는 정규직으로 분류되지만, 정확히는 비정규직이다.

정규직도 아니고, 비정규직도 아니어서 스스로 ‘중규직’이라고도 부른다. 비슷한 또래의 정규직 공무원은 연봉 7000만원이다. 그는 이것저것 합해 연봉 2900만원을 수령한다. 하지만 하는 일은 7000만원짜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가끔 부럽기도 하고, 혹은 이해가 안 되는 일들이 일어난다. 먼저 부러운 일. 같은 기관에서 정규직 공무원으로 60세에 정년퇴직한 뒤에도 ‘낙하산’을 펼쳐 관련 단체로 날아가 벌써 3년째 일하고 있는 선배다. 마지막 연봉이 8000만원이었던 자리에서 퇴직한 이 선배는 공무원연금으로 월 320만원을 수령하는 것 외에 관련 단체에서 다달이 200만원의 월급을 받고 있다. 월급이 일정액을 넘어서면 연금이 줄어드는 규정을 절묘하게 피해 200만원 선에 걸쳐 있다. 게다가 그 단체에서 68세까지 일할 수 있어 앞으로 5년을 더 다녀도 된다.

이해가 안 되는 두 가지. 김씨가 일하는 부서는 23명이다. 그가 수년간 관찰하면 정말 의욕을 갖고 일하는 사람은 몇 명에 불과한 듯하다. 나머지는 적당히 일한다. 카톡은 금지돼 있지만, 말뿐이다. 카톡은 물론 공무원 메신저를 통해 뒷담화도 즐기고, 어떤 직원은 별일도 없는데 출장으로 자리를 비우고, 심지어는 일도 없는데 토·일요일 근무를 자청해 수당을 챙긴다. 이런 사무실인데도, 사회복무요원이 한 명 배치돼 있는 제도도 이해하기 어렵다. ‘요원’의 일은 정수기에 고인 물을 버리거나 화분에 물을 주는 정도다.

“똘똘한 사람들 서너명 앉혀 놓으면 될 텐데, 나부터도 자리 하나씩 차지하고 앉은 월급 도둑이구나 싶죠.” “사기업 같으면 잘릴 사람 많다는 거죠. 한마디로 잉여인간.” “열심히 일하는 직원을 보면 뿌듯한데, 젊은이들이 뭣에 홀려 공시족(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되는지 잘 모르겠어요.” 김씨는 필자에게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 보인다.

81만개 공공부문 일자리,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공약이다. 정권 출범과 함께 일자리위원회가 발족해 청년 실업 해소와 비정규직 감축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김씨의 실제 사례에서 보듯 밖에서는 여간해 보이지 않는 공공부문의 빈틈을 잘 정리만 해도 일자리 창출의 지혜가 생길 것 같다.

황성기 논설위원
2017-05-26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