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순직 인정’ 허원근일병 부친 “국방부 사과 없이 억울함 안풀려”

‘순직 인정’ 허원근일병 부친 “국방부 사과 없이 억울함 안풀려”

입력 2017-05-18 16:35
업데이트 2017-05-18 16: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부 진실 인정해야…의문사한 군인들 원한 국가가 풀어줘야”

“순직 인정으로 아들의 한을 조금이나마 풀었지만, 여전히 억울함은 남아있죠.”

전두환 정권 시절 의문사한 고(故) 허원근 일병이 숨진 지 33년 만에 순직 인정을 받았지만, 허 일병의 부친 허영춘(77)씨는 “아들의 한을 다 풀기 위해서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허씨는 18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억울함이 풀릴 것도 별로 없다”며 “아들을 죽인 살인자와 아들 사망을 은폐하려 한 사람들이 멀쩡히 지내는데 어떻게 온전히 억울함이 풀리겠는가”라고 반문했다.

허씨는 “아들의 순직 인정은 자살이 아닌 타살이라는 것을 명백히 밝힌다는 점에서 마음을 조금 풀어준다”면서 “하지만 국방부가 아들 사망의 진실을 인정하고 사과해야 억울함이 다 풀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02년) 국방부에서 또다시 아들이 자살했다는 결론을 내린 적 있다”며 “사건을 조사한 헌병대와 2002년 자살로 결론 내린 사람들이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씨는 “30년 동안 아들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려 여의도에서 천막 농성을 수년째 하는 등 모든 노력을 다했다”면서 “아들 순직 인정으로 내 할 일이 다 끝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두환·노태우 정권 때 수천명이 군에서 의문사했다”며 “이에 대한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얼마 전 꿈을 꿨는데 넓은 광장에 수백명의 군인들이 일렬로 도열해 나한테 경례를 했다”면서 “이제 내 아들 한 사람의 순직이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당시 숨진 군인들의 마음을 풀어줘야 한다는 욕심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허씨는 “아들이 사망했을 때 검시를 한 법의학자를 18년 만에 만나 이야기를 한 적 있다”며 “그 법의학자는 사건 당시 자살이라는 말은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어 “법의학자가 자살이라는 말도 안 했는데 자살로 만든 일”이라며 “두 번 다시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법의학자가 바른말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도 불안한 마음으로 군대에 자식을 보내는 부모들을 위해 검시관 제도를 올바르게 바꿔야 한다”며 “법의학자가 수사 과정에서 바른말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씨는 “억울하게 죽은 군인들의 원한이 세상에 남지 않도록 국가가 책임지고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며 “아들의 죽음을 자살로 몰고 간 책임자들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