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외국기자 매수해 한국 침략 왜곡 홍보…年 22만엔, 당시 내각 기밀비 2배나 썼다

日, 외국기자 매수해 한국 침략 왜곡 홍보…年 22만엔, 당시 내각 기밀비 2배나 썼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7-05-15 22:58
업데이트 2017-05-16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태진 전 국사편찬위원장 ‘끝나지 않은 역사’서 병합 전후 기록들 파헤쳐

“1906년 2월 설치된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통감부가 매년 지출한 기밀비는 일본 내각 기밀비의 두 배인 22만엔이었습니다. 당시 일본 중급 공무원 월급이 10엔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천문학적 수준이죠. 이완용 같은 매국노를 매수하는 데도 썼지만 일본의 한국 병합에 대한 국제적 왜곡 보도와 홍보에 막대한 비용을 썼어요. 서구 사회의 식민주의 역사관이 잔존하고 오늘날까지 다수의 일본인이 한국 병합을 합법으로 알고 있는 이유입니다.”
20여년간 일본의 한국 병합의 불법성을 연구해 온 이태진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가 지난 12일 서울 강남구 한국역사연구원 연구실에서 일본 우익의 사상적 기원인 요시다 쇼인과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 인식에 대해 말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20여년간 일본의 한국 병합의 불법성을 연구해 온 이태진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가 지난 12일 서울 강남구 한국역사연구원 연구실에서 일본 우익의 사상적 기원인 요시다 쇼인과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 인식에 대해 말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한국 황제가 합병 요구” 날조 퍼뜨려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태진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는 지난 1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연구실에서 신간 ‘끝나지 않은 역사’(태학사)에 담아낸 병합 전후의 기록들을 설명했다.

통감부 기밀비의 규모는 이 명예교수가 찾아낸 일본의 도쿄니치니치신문(현 마이니치신문)의 1910년 8월 12일자 기사에 적시됐다. 용처로 통감부의 ‘외국신문 기자 조종’ 등에 필요한 비용이라는 내용도 담겨 있다.

일본 신문들은 1910년 8월 한국병합조약 체결을 앞두고 ‘합방’이라는 단어를 쓴 기획기사를 쏟아냈고, 그중에는 한국 황제가 통감 관저를 방문해 합방을 요구했다는 왜곡 보도가 적지 않았다. 이 명예교수는 일본 측의 병합 찬성 기사들이 로이터통신 등 서구 언론을 통해 전파된 배후로 통감부의 홍보 공작을 꼽는다.

이번 책은 지난 1월 펴낸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후속작이다. 전작이 을사늑약(1905년 11월)부터 한국병합조약까지 조선 국권을 강탈한 조약들의 불법성을 낱낱이 파헤쳤다면 후속작은 당대 일제 식민지배를 청산하기 위한 역사적 인식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중 하나가 일본 침략주의의 사상적 기원이다. 이 명예교수는 원류로 요시다 쇼인(1830~1859)을 지목한다. 요시다는 ‘유수록’(幽囚錄)을 통해 이웃 국가들에 대한 침략을 주장하며 메이지유신 세력을 키운 사상가 겸 교육자다. 아베 신조 총리가 숭배하는 인물이다.

●침략 설파 요시다… 아베는 사상적 제자

요시다가 고향인 조슈번(야마구치현)에 세운 사설학원 쇼카손주쿠에서 육성한 1세대 제자들이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린 다카스기 신사쿠, 을사늑약을 체결한 이토 히로부미, 명성황후를 시해한 미우라 고로,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 마사다케 등이다.

이 책에서는 요시다 평전를 쓴 군국주의 언론인 도쿠도미 소호도 조명된다. 그가 요시다의 침략주의를 전파하고, 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 감독으로 식민지 언론 통제의 총책 역할을 했다는 걸 밝힌다.

이 명예교수는 “요시다가 침략 지역으로 열거한 순서가 타이완, 조선, 만주, 중국,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이었고 훗날 일본이 침략 전쟁을 벌인 순서와도 거의 똑같다”며 “요시다의 3세대 제자가 아베 총리의 외조부이자 A급 전범이었던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이며 4세대 제자가 아베 총리”라고 말했다. 기시 전 총리와 아베 총리(본적지) 모두 요시다와 동향으로, 이 명예교수가 일본 우익의 사상적 성지로 꼽는 야마구치현 출신들이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침략주의를 국가선으로 본 요시다에게서 발단된 것”이라며 “아베 총리가 전쟁 범죄인 위안부 문제를 사죄하고 인정하지 않는 건 사상적 스승인 요시다를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위안부 합의 중대 하자 가능성”

이 명예교수는 이를 한·일 양국이 2015년 12월 28일 발표한 위안부 합의에도 아베 총리가 문서로 공식 사죄하지 않는 이유로 본다.

아울러 양국 위안부 합의가 ‘효력이 없거나 중대한 하자가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이 명예교수는 “국가 간 기초적 합의인 ‘각서’(memorandum)일지라도 합의문과 서명이 존재한다”며 “정부가 지금까지도 합의 문서를 공개하지 못하는 걸 보면 무엇인가 떳떳하지 않는 사안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7-05-16 27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