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디지털 뱅킹에 사라지는 점포…디지털 소외 고객은 부글부글

디지털 뱅킹에 사라지는 점포…디지털 소외 고객은 부글부글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5-11 23:16
업데이트 2017-05-12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6대銀 점포 176곳 문닫아

대기고객 수 급증 등 불편 늘어
신탁 등 직접 방문 거래도 많아
디지털 서비스 보완책 마련해야
직장인 한모(30)씨는 최근 통장을 해지하려고 점심시간을 이용해 K은행에 갔다가 대기 인원이 60명인 번호표를 받고 짜증이 났다. 통장을 해지하는 데 걸린 시간은 5분이 채 안 됐지만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 사무실에 간신히 늦지 않게 돌아갈 수 있었다. 스마트기기 세대이지만 금융 거래는 웬만하면 은행 창구에서 한다는 한씨는 “아직까지는 직접 은행에 가야 하는 업무가 많고 저처럼 창구 거래를 고집하는 고객들도 여전히 많은데 덮어 놓고 점포부터 줄이는 게 능사인지 모르겠다”며 답답해했다.

시중은행들이 점포를 통폐합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아직 디지털 서비스가 충분히 편리하고 발달하지 않아 고객들의 불만도 높다. 과도기적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무작정 점포만 줄일 게 아니라 ‘디지털 문맹’ 소비자를 위한 방안 등 보완책 마련도 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6개 주요 은행(국민·우리·신한·KEB하나·농협·기업) 점포 176개가 없어졌다.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이용해 은행 일을 보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고 은행들도 비용 절감과 디지털 전환을 위해 앞다퉈 점포 수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일부 점포에서는 대기 고객 수가 급증하는 등 불편이 커지고 있다. 은행 측에서는 디지털 뱅킹을 이용하라고 권하지만 노년층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젊은 고객들도 비대면 거래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하는 게 사실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디지털 뱅킹은 시간과 비용을 줄여 준다는 점에서 편리하지만 금융 거래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고객이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고액 자산가들이나 안전성을 원하는 고객들은 여전히 점포를 찾는다”고 말했다.

통장 개설과 계좌이체, 신용대출 등 많은 업무가 모바일로 가능해졌다고 해도 여전히 은행 방문이 필수인 업무도 있다. 예컨대 신탁 업무는 비대면 거래가 불가능하다. 점포에서 가입한 예·적금도 만기 때 반드시 은행에 가야 해지할 수 있다. 최근엔 주택담보대출 신청도 스마트뱅킹으로 할 수 있지만 설정 등기를 위해서는 꼭 한 번 은행을 방문해야 한다.

고객뿐 아니라 은행 직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도 선결 과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가장 급격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씨티은행은 전국 126개 지점을 25개로 통폐합하기로 했다. 이런 흐름이 인력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느낀 노조원들은 지점 통폐합에 반대하며 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이를 지켜보는 다른 시중은행 임원은 “디지털은 어차피 가야 할 방향이지만 은행원들조차 충분히 설득하지 못하면 어떻게 고객을 설득할 수 있겠느냐”면서 “(공감대 형성은) 씨티뿐 아니라 모든 은행 경영진의 고민”이라고 털어놓았다. 이 은행의 평직원은 “씨티의 실험이 성공할까봐 두렵다”고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는 “핀테크(금융+IT)는 은행 거래가 어려운 금융 소외자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확대해 주는 측면도 있다”면서 “은행들마다 각자 특성을 살린 디지털 전략 짜기와 효율적인 점포 활용 방안을 고민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5-12 2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