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재인 대통령 시대] 최측근에 맡겨온 靑 곳간 열쇠, 7급 출신 ‘막내 국장’에게 건네

[문재인 대통령 시대] 최측근에 맡겨온 靑 곳간 열쇠, 7급 출신 ‘막내 국장’에게 건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7-05-11 23:16
업데이트 2017-05-12 0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고시 신화’ 이정도 비서관

11일 아침 정부세종청사가 발칵 뒤집어졌다. 대부분 부처가 술렁거렸다. 특히 기획재정부 공무원 가운데 상당수는 TV로 생중계되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의 비서실 인선 발표를 믿지 못하겠다는 표정을 지었다. 청와대 안살림을 총괄하는 중책인 총무비서관에 당장 어제까지도 자리를 지키고 있던 현직 공무원 이정도(52) 기재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이 임명됐기 때문이었다. 국방·법사·안전·지방 관련 예산을 책임지는 행정안전예산심의관은 기재부 예산실에서도 서열상 ‘막내 국장’으로 불리는 자리다. 기재부의 한 국장급 간부는 ‘서열 파괴’와 ‘상식 파괴’가 동시에 일어났다며 놀라워했다.
이미지 확대
이정도 총무비서관.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정도 총무비서관.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임 실장은 이날 “이 비서관은 지방대를 나와 기재부 7급으로 시작해 국장까지 올라 공무원 사회에서 신뢰와 존경을 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대표적인 ‘흙수저’ 출신이라는 표현도 곁들였다. 임 실장은 이어 “그간 총무비서관은 대통령 최측근들이 맡아 온 것이 전례인데, 대통령은 이를 예산정책 전문 행정공무원에게 맡겨 철저히 시스템과 원칙에 따라 운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총무비서관은 청와대 내부의 인사와 재정을 총괄하는 ‘살림꾼’이어서 대통령이 오래 알고 지낸 최측근 인사가 기용돼 왔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때는 고향 친구였던 정상문 전 비서관과 변호사 사무실 사무장이었던 최도술 전 비서관, 이명박 전 대통령 때는 ‘집사’로 불렸던 김백준 전 비서관, 박근혜 정부 때는 ‘문고리 3인방’ 중 한 명인 이재만 전 비서관이 중용됐다. 이런 점에서 관료 출신인 이 비서관의 기용은 매우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비서관은 기재부 내에서 입지전적인 인물로 꼽힌다. 32명의 기재부 실·국장 가운데 유일한 비고시 출신이었다. 종합고(초계종고)와 지방대(창원대 행정학과) 출신으로 1992년 7급 공채로 공직에 입문했다. 당연히 행정고시 출신 중심인 ‘주류’와는 거리가 멀었다.

하지만 이 비서관은 성실성과 섬세한 스타일로 인사와 예산 분야에서 뛰어난 업무 능력을 보여 줬다는 평이다. 농림수산예산과장, 문화예산과장 등을 거쳐 비고시 출신 최초로 기재부에서 인사과장에 발탁되기도 했다. 인사과장은 국장 승진 1순위 자리여서 고시 출신의 다른 과장들이 “대체 이정도가 누구냐”는 이야기까지 했을 정도다. 기재부 내부에서는 “일을 하려면 ‘이정도’는 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퍼져 있다.

이 비서관은 과거 노무현 정부 시절 변양균 전 기획예산처 장관의 비서를 지냈다. 또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해 참여정부와 인연이 깊다. 이후 강만수 전 장관(이명박 정부)과 최경환 전 부총리(박근혜 정부)에게도 전폭적인 신임을 받았다. 특히 강 전 장관의 경우 직접 수행비서를 했다. 기재부의 한 간부는 “특정 인물에 편중된 스타일이라기보다는 누가 됐든 상사에 대한 로열티가 강한 스타일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른 간부는 “성실하고 겸손하지만 필요할 때는 상사에게 직언도 하는 스타일”이라면서 “특별한 정치적 색채도 없다”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7-05-12 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