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재인 대통령 시대] ‘출신성분’도 ‘나이’도 안 따지고… 개혁 의지·능력만 본다

[문재인 대통령 시대] ‘출신성분’도 ‘나이’도 안 따지고… 개혁 의지·능력만 본다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7-05-11 23:16
업데이트 2017-05-12 04: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 ‘인사 스타일’

51세 임종석 靑비서실장 중용…고령의 김기춘과 차별화 전략
사법시험 안 거친 조국 민정수석檢 쥐락펴락한 우병우와 정반대
강만수 측근에 靑 살림 맡겨개인 인연보다 전문성 중시
靑참모진과 산책하는 文대통령
靑참모진과 산책하는 文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신임 수석비서관 등과 점심 식사 후 음료를 들고 청와대 경내를 산책하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조국 민정수석, 권혁기 춘추관장, 문 대통령, 이정도 총무비서관, 조현옥 인사수석, 송인배 전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일정총괄팀장, 임종석 비서실장.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김기춘·우병우 갔더니 임종석·조국 오고….’

11일 취임 이틀째를 맞은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 키워드는 ‘젊음·개혁·실용’ 세 가지로 요약된다. 박근혜 정부 시절만 해도 청와대는 권위의 상징으로 높은 연령대의 사정기관 출신을 적극 기용했다면, 문 대통령의 초기 청와대 인사는 젊고 개혁을 상징하는 인물을 등용해 실무형으로 배치한 게 특징이다.

문 대통령의 이러한 의도가 가장 잘 반영된 첫 인사는 임종석 전 의원의 비서실장 임명이다. 임 실장은 66년생으로 만 51세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초대 비서실장이었던 허태열 전 실장은 45년생이었고 ‘왕실장’으로 불렸던 김기춘 전 실장은 39년생, 마지막 비서실장이었던 한광옥 전 실장은 42년생이었다. 이와 비교하면 갓 50대에 진입한 임 실장의 등용은 파격 인사인 셈이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연륜이 쌓이며 얻은 경험이 많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몰락하고 그 중심에 고연령의 김 전 실장이 있었기 때문에 대통령 비서실장과 청와대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다. 따라서 문 대통령은 젊고 진보적인 비서실장을 통해 청와대의 이미지 쇄신을 꾀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임 실장을 소개하면서 “젊은 청와대, 역동적이고 탈권위적인, 그리고 군림하지 않는 청와대로 변화시킬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조국 신임 민정수석은 문 대통령의 ‘개혁’ 의지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우병우 전 민정수석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의 주요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 국민들의 분노가 큰 만큼 문 대통령은 선거 기간 검찰개혁을 강하게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비(非)검사 출신이자 진보 성향의 법학자인 조 수석을 통해 검찰개혁을 추진하려는 의지를 보인 셈이다.

문 대통령의 ‘실용주의’는 조현옥 신임 인사수석과 윤영찬 신임 국민소통수석, 이정도 신임 총무비서관 임명에서도 엿볼 수 있다. 최초의 여성 인사수석인 조 수석의 깜짝 기용은 그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고위 공직자 인사검증자문회의 위원과 균형인사비서관을 역임한 인사 전문가라는 점을 문 대통령이 높이 산 것이다. 또 조 수석이 서울시에서 여성가족정책실장을 맡은 경력을 살려 여성 인재를 등용시키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

윤 수석은 정치부 기자 출신이자 네이버 부사장 등을 맡은 미디어 전문가라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또 이명박 정권의 실세였던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의 측근이었던 이 비서관을 청와대 인사와 재정을 총괄하는 총무비서관에 발탁한 것도 화제다. 이 비서관의 개인적인 관계보다는 기획재정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 출신의 예산 전문가라는 점을 더 중시했다는 것에서도 문 대통령이 실무형 인사를 선호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7-05-12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