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도로파’도 ‘공원파’도 봄기운 느끼며 달려요

‘도로파’도 ‘공원파’도 봄기운 느끼며 달려요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7-05-10 01:00
업데이트 2017-05-10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일 서울신문 하프마라톤 이렇게 즐기세요

오는 20일 오전 9시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광장 앞에서 출발해 월드컵공원과 한강공원을 달리는 제16회 서울신문 하프마라톤대회는 겨우내 움츠렸던 고단한 몸을 깨우고 따스한 봄기운을 마음껏 들이켤 수 있는 구간에서 펼쳐진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1만여명이 함께할 전체 구간의 특징과 참가자 주의사항을 알아본다.

서울신문 하프마라톤대회는 크게 하프코스(21.0975㎞)와 10㎞, 5㎞ 코스로 나뉜다. 각 코스를 이용하는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구간을 운영한다. 하프코스는 예전과 달리 새롭게 5㎞가량 도로 구간을 만들었다. 10㎞ 구간에는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기회를 누릴 수 있다. 5㎞의 경우 참가자 특성을 감안해 모든 구간을 도로로 바꿨다.
이미지 확대
하프코스는 마라톤 완주를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딱 좋다. 완주를 이미 경험한 이들에게도 적은 부담을 안기면서 감각을 유지하기에 적당하다. 지난해까지는 도로 구간이 없어 아쉽다는 평가를 듣기도 했지만 올해부턴 경찰과 협의해서 도로 구간을 일부 신설했다. 마라톤을 하는 사람들은 취향에 따라 공원을 좋아하기도 하고 도로 구간을 좋아하기도 한다. 서울신문 하프마라톤에선 둘 다 느낄 수 있어 좋다.

하프코스에 도전하는 이들에게 서울신문 하프마라톤이 주는 장점을 두 가지로 손꼽을 수 있다. 먼저, 교통통제가 원활하기 때문에 자동차 매연에서 자유롭다. 또 다른 하나는 10㎞ 지점 하늘다리 연결구간에서 조금 오르막길을 달려야 한다는 점을 빼고는 전체적으로 평탄하다는 점이다. 마라톤 코스를 고를 때 오르막길을 최소화하는 게 최선이다. 하지만 한국은 지형상 이 같은 코스를 고르는 게 쉽지 않다는 걸 감안하면 큰 매력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한강을 끼고 달리는 덕분에 자연경관이 빼어나고 바람까지 적당히 불어준다.

10㎞ 코스에서는 도로와 공원, 비포장 세 가지를 모두 경험할 수 있다. 특히 길옆으로 늘어선 메타세쿼이아 나무들에게 사열을 받는 기분으로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건 쉽게 맛볼 수 없는 경험이다. 주최측에선 비포장도로 구간에 먼지가 일지 않도록 살수차도 운행한다. 5㎞ 코스는 기존에는 한강공원을 주로 달렸지만 올해부턴 도로 구간으로 바뀌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평탄한 길이다. 유모차를 끌고 오거나 어린이를 데리고 온 가족 단위 참가자가 많다는 걸 고려했다.

참가자들은 좀더 일찍 출발장에 도착해 배번표와 칩을 부착하고 사전 준비운동을 하는 게 좋다. 특히 전체 구간을 완주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참가자들에겐 안전과 날씨를 감안해 5㎞ 구간마다 생수와 스포츠음료를 제공한다. 달리는 도중 몸에 이상을 느낀다면 즉시 경기를 중단하고 의료팀이나 대회 운영요원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기록 측정을 위해 참가자들은 배부받은 칩을 반드시 부착해야 한다. 만약 칩을 부착하지 않아 기록 측정이 되지 않으면 실격 처리된다. 하프코스는 2시간 30분, 10㎞와 5㎞ 코스는 1시간 30분 제한시간을 적용한다. 부문별 제한시간을 넘긴 뒤에는 교통통제가 자동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반드시 진행요원의 지시에 따라 회수차량에 탑승해야 한다. 참가자를 임의로 바꾸거나 대리로 참가하면 즉시 실격 처리되고 기록증을 발송하지 않는다. 대회 당일 번호표를 부착하지 않거나 변조한 번호표를 부착하면 참가를 제한받을 수 있다.

주최측에선 공원 구간에서 자전거와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강조한다. 공원구간에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이 예전보다 늘어난 데다 차량과 달리 완전히 통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5㎞ 코스는 도로구간이기 때문에 자전거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05-10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