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취업용 정장/황성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취업용 정장/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7-05-04 17:58
업데이트 2017-05-04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 서울신문사의 신입사원들이 회사 각 부서를 돌며 인사를 다닌다고 논설위원실까지 왔다. 놀란 것이 남녀 불문하고 검은색 혹은 짙은 청색 정장을 입고 있는 모습이었다. 어디선가 본 낯익은 풍경이었는데, 기억을 해내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도쿄에서 봤던 것이다. 일본은 회계연도 시작이 4월이라 신입사원 입사도 이때 몰려 있다. 퇴근 시간에 삼삼오오 검은색 정장을 입고 거리를 활보하는 무리들이 있다면 그들은 거의 100% 신입사원들이다. 이들이 입는 검은색 정장을 ‘리쿠르트 슈트’라 부른다.
한국에서도 199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리쿠르트 슈트와 관련한 언급이 보이기 시작한다. 경향신문 9월 14일자 기사. ‘고용시장 활기에 마케팅 강화, 면접생 필수품 매출 20~30% 신장’이란 제목에 “의류 업체들은 리쿠르트 슈트(Recruit Suit)란 이름으로 예비 취업생 전용 정장을 앞다퉈 쏟아 내놓고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는 내용이다.

일본에서 취업용 정장을 뜻하는 리쿠르트 슈트란 말이 등장한 것은 1970년대 중반이다. 이전까지 취업 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은 학생복을 입고 기업을 돌아다녔다. 1976년 대학 소비생활협동조합이 대형 백화점과 함께 취업 활동용 정장을 특설 판매했다. 반응이 좋자 이듬해 다른 백화점들도 뒤질세라 리쿠르트 슈트를 판매했다고 한다. 특설 판매에 참가한 직원이 지어낸 말이 바로 일본식 영어 조어인 리쿠트트 슈트였다.

리쿠르트 슈트를 고르는 요령이 있다. 첫째 무늬가 없고 검정이나 짙은 청색, 회색으로 청결감을 줄 것, 둘째 기발하다는 인상을 주지 않을 것, 셋째 학생용으로 제작된 싸구려일 것이다. 면접관이나 혹은 입사가 결정된 회사의 상사에게 다른 면접자나 신입사원보다 튀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고 그다음으로는 선배들 뺨치는 비싸고 좋은 옷을 입어서도 안 된다는 점이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우리말처럼 일본에도 ‘삐져나온 말뚝이 맞는다’는 속담이 있다.

인사부에 문의하니 옷차림에 관한 특별한 규정은 없다고 한다. 한 신입사원은 “튀지 않으려고 그랬는데 대부분 비슷한 생각일 것”이란다. 취업의 벽을 뚫고 회사에 첫출근했더니 눈치를 받거나 한마디라도 들으면 곤란하기는 하겠다 싶다. 신문사의 신입 기자 교육은 곧 평상복으로 취재 현장에 나가기 때문에 취업용 정장을 입는 것도 며칠뿐이었을 것이다. 넘치고도 터져 날 개성을 감춰 두는 게 낫다는 생각을 왜 20대가 하는 것인지 50대로선 이해하기 쉽지 않다.

황성기 논설위원

2017-05-05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