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맹수도 충치 앞엔 장사 없네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 맹수도 충치 앞엔 장사 없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05-02 17:36
업데이트 2017-10-24 2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케냐 사자의 식인’ 까닭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기운이 없을 때 초콜릿을 먹거나 달콤한 음료수를 마시면 기운이 납니다.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단것을 더 좋아하죠. 그렇지만 양치하는 습관이 들지 않은 아이들은 충치에 걸리기 십상입니다. 아이들을 치과에 데리고 가는 건 여간 힘든 일이 아니라, 부모들은 아이들이 충치에 걸릴까 노심초사합니다.
1898년 영국 군인 존 패터슨이 케냐에서 원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한 식인 사자를 사실한 뒤 찍은 사진.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 사이언스 제공
1898년 영국 군인 존 패터슨이 케냐에서 원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한 식인 사자를 사실한 뒤 찍은 사진.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 사이언스 제공
의학용어로 치아우식증이라고 불리는 충치는 단 음식을 즐겨 먹거나 이를 닦지 않아 음식물 찌꺼기가 입안에 남아 생깁니다. 전 세계인의 약 85%가 갖고 있다고 할 정도로 보편적인 질환이지요. 사람과 가까이 지내는 반려동물이나 동물원 같은 곳에서 사육되는 동물들도 충치에 걸리기 쉽다고 합니다.

반면 야생동물은 먹이에 당 성분이 거의 없어 충치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알려졌는데요. 최근 야생동물의 충치에 대한 매우 흥미로운 연구가 나왔습니다.

●충치로 야생의 질긴 먹이 못 먹어

먼저 희대의 살인 사자 이야기를 알아야 합니다. 1898년 아프리카 케냐에서 수컷 사자 2마리가 9개월 동안 공식적으로 35명(비공식적으로는 135명)의 인간을 잡아먹은 사건입니다. 사자가 사람을 공격하는 일이 간혹 있었지만 짧은 기간에 그렇게 많이 살육한 것은 처음이라 원주민들은 사자들을 ‘고스트’와 ‘다크니스’라고 부르며 지옥에서 온 악마의 소행으로 믿었습니다. 영국의 존 패터슨 대령이 사자들을 사살해 죽음의 행진은 멈췄습니다. 이 이야기는 1952년 ‘브와나 악마’라는 제목의 영화로 제작돼 흥행했고, 1996년 나온 발 킬머와 마이클 더글러스 주연의 영화 ‘고스트 앤 다크니스’도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유럽인들의 식민지 개척에 따른 생태계 파괴, 가뭄, 질병 등으로 먹잇감들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추정만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이 사자들이 사람들을 공격한 이유가 다름 아닌 ‘충치’ 때문이라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최신호에 실린 이 연구는 놀라움과 허탈함(?)을 주고 있습니다.
식인 사자 2마리 중 한 마리의 머리뼈.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 사이언스 제공
식인 사자 2마리 중 한 마리의 머리뼈.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 사이언스 제공
●사냥 쉽고 부드러운 인육 찾아

미국 벤더빌트대 지구환경과학부와 시카고 필드자연사박물관 통합연구센터 과학자들은 두 식인 사자와 사람을 잡아먹은 적이 있는 사자 53마리, 동물원에서 사육되다가 죽은 사자, 동물의 살만 먹는 치타, 사냥감의 뼈까지 먹어치우는 하이에나 등 육식동물들의 턱뼈와 치아 상태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고스트와 다크니스의 치아 마모 상태는 부드러운 고기만 먹는 동물원의 사자와 놀랍도록 비슷하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특히 두 마리 중 한 마리의 송곳니 뿌리에 충치로 인한 고름이 있었던 흔적이 있었고 다른 사자 역시 이빨과 턱에 문제가 있다는 것도 발견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야생 사자는 물소나 기린, 얼룩말 등을 먹습니다. 하지만 식인 사자들은 충치 때문에 질긴 살코기를 먹을 수 없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인육을 찾게 됐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잡기 쉬운 사냥감을 찾아 사람들이 무장해제하고 잠든 밤에 나타나 잡아먹으니 원주민들의 공포는 더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사자의 이빨에 생긴 작은 충치가 35명의 살육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하니 정말 오싹합니다. 무관심하게 지나친 작은 자연현상이나 변화가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사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비효과’처럼 말입니다. 온실가스의 무자비한 배출로 이어지는 여름철 폭염과 가뭄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edmondy@seoul.co.kr
2017-05-03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