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찮은 인생도 흔적 남지 않는 건 아니죠”

“하찮은 인생도 흔적 남지 않는 건 아니죠”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4-26 17:30
업데이트 2017-04-26 17: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편소설 ‘뜻밖의 생’ 발간 김주영 작가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노하거나 서러워하지 말라/마음은 미래에 살고 현재는 언제나 슬픈 법/모든 것은 한순간 사라지지만 가버린 것은 마음에 소중하리라.’
이미지 확대
김주영 작가는 “한참 열정이 쏟아졌을 때는 하룻밤에 단편 하나를 썼는데 이 소설은 쓰는 데 1년이 걸렸다. 성애 장면을 질펀하게 쓰고 싶을 때도, 쌍소리를 능숙하게 집어넣고 싶을 때도 자꾸 ‘이 나이에 이래도 되나’ 마음에 걸렸기 때문이다”며 유쾌하게 웃었다. 문학동네 제공
김주영 작가는 “한참 열정이 쏟아졌을 때는 하룻밤에 단편 하나를 썼는데 이 소설은 쓰는 데 1년이 걸렸다. 성애 장면을 질펀하게 쓰고 싶을 때도, 쌍소리를 능숙하게 집어넣고 싶을 때도 자꾸 ‘이 나이에 이래도 되나’ 마음에 걸렸기 때문이다”며 유쾌하게 웃었다.
문학동네 제공
노작가는 쪽지를 꺼내 들고 푸시킨의 시를 읊어 내려갔다. 익숙한 만큼 흘려듣기도 쉬운 구절을 낭송하고는 말했다. “이 시는 춥고 어두운 곳에 웅크린 이들에게 위로를 주는 시입니다. 중학교 때부터 암송했지만 그걸 안 지는 얼마 안 됐어요. 어두운 곳에 있는 사람, 그래서 더이상 키가 자라지 않는 사람이 받을 수 있는 위로는 어떤 걸까. 이 생각이 늘 제 마음속에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아직도 글을 쓰는 거겠죠. 앞으로도 계속 그들을 위해 쓰고 싶고요.”

2013년 ‘객주’ 완간 이후 4년 만에 장편 ‘뜻밖의 생’을 들고 돌아온 소설가 김주영(78)은 이렇게 꿈을 말했다. 이번 소설은 올해 등단 47년, 여든을 눈앞에 두고도 ‘끝까지 쓰겠다’는 집념으로 서울 살림을 정리하고 객주문학관이 있는 경북 청송으로 내려가 창작에 몰두한 결과물이다.
이미지 확대
이야기는 소년 박호구와 항구에서 노숙을 하며 지내는 노인 박호구를 교차하며 풀려 나간다. 노름꾼 아버지와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려 무당에 의존하는 어머니 사이에서 자란 박호구에게 외로움, 따돌림은 덫 같은 숙명이었다. 밑바닥 인생의 전형인 그가 직조하는 희비극의 아찔한 격차는 행복과 불행이 필연적으로 맞닿아 있는 우리 생의 본질을 전해 준다.

“소설에는 지리멸렬한 가정에서 보호받지 못하고 거대한 역사의 흐름에도 소속되지 못한 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여울물이 흘러가도, 산그늘이라는 흔적은 남아 있다’는 게 이 사람의 철학이죠. ‘나같이 하찮은 인생이라고 흔적이 남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는 주인공의 대사처럼, 절대로 세상을 원망하지 않는 고귀한 사람이죠. 삶에는 언제나 고난보다는 그 고난을 해결할 방법이 더 많은 법이거든요.”

이번 작품은 2016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문학동네 네이버 카페 연재로 먼저 독자들과 만났다. 온라인에서 독자들 반응이 어땠냐는 질문에 작가는 “미리 보면 행복해질까 싶어 독자들 반응은 안 봤다. 지금까지 내가 쓴 소설 중에 가장 재미있는 소설이라 장담한다”는 특유의 너스레로 좌중을 웃기기도 했다.

최근 극심한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는 작가는 전날 밤 몽롱한 상태에서 영화를 봤다고 했다. 젊은 시절 미남에 능력자였던 영화 속 노배우의 추레한 모습이 자신의 모습으로 비춰졌다는 그는 문득 속담 하나를 건넸다.

“이태리 속담에 ‘흘러간 물로 물레방아를 돌릴 순 없다’는 말이 있어요. 시골 툇마루에 앉아 해바라기나 하고 있을 나이에 글을 쓴다는 게 흘러가는 물을 끌어다 물레방아를 돌리는 억지가 아닌가 그런 생각도 듭니다. 물레방아는 축이 튼튼해야 잘 돌아갈 텐데 이 물레방아는 축이 닳고 닳아 마구 휘청이며 돌아가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을 놓지 않는 건 제 나이에도 꿈이 있기 때문입니다. 작품을 읽는 사람에게 위로가 되고 싶다는 꿈 말이죠.”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4-27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