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문이 낳은 ‘자유부인’

신문이 낳은 ‘자유부인’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7-04-25 17:32
업데이트 2017-04-25 1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자가 열광한 신문소설전’ 6월 18일까지 국립중앙도서관서

국내 신문 연재소설 111년사의 발자취를 담은 ‘매일 읽는 즐거움-독자가 열광한 신문소설전’이 국립중앙도서관 전시실에서 25일부터 오는 6월 18일까지 열린다.
2013년 타계한 소설가 최인호는 2001년 한 일간지에 기고한 ‘사라지는 신문연재 소설’이라는 글에서 “신문은 가난한 작가들의 예술혼을 불태우게 했던 극장이자 무대였으며, 가난하고 천하였을 때 고락을 같이해 온 친구이자 술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으며 함께 고생해 왔던 부부 이상의 동반자였다”고 평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첫 신소설로 천도교 기관지인 만세보에 연재됐던 이인직의 ‘혈의루’(1906) 등 연재 소설의 역사를 좇는 ‘신문소설이 걸어온 길’과 ‘신문소설과 함께한 삽화’, 그리고 이광수의 무정, 정비석의 자유부인 등 장편소설의 산실로 기능한 ‘신문소설 깊이 알기’ 등 5개 테마로 구성됐다. 우리 첫 근대 장편소설인 ‘무정’의 경우 올해 매일신보 연재 100년을 기려 별도의 특별전인 ‘무정 100년, 근대문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동시에 열린다.

문학사·사회사적 영향을 살펴보는 신문소설 중에서는 1954년 서울신문에 연재된 ‘자유부인’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6·25전쟁 직후 사회 풍조 변화를 다룬 당대 최고의 인기소설이자 논쟁작으로, 신문소설 중 가장 성공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시 기간 중 정이현(5월 13일), 김선우(5월 27일), 김영하(6월 3일) 등 작가와 독자가 연재소설에 대해 이야기는 문학콘서트 행사도 마련됐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신문 간행 이후 연재소설은 특별한 읽을거리였고, 대중문화 발전을 견인해 왔다”며 “신문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우리 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7-04-26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