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사이드] ‘홍역 치르다’ 이젠 옛말…홍역 국내 발생 ‘0’

[인사이드] ‘홍역 치르다’ 이젠 옛말…홍역 국내 발생 ‘0’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7-04-25 17:39
업데이트 2017-04-25 1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송파구 남천초등학교에서 한 여자 어린이가 얼굴을 찡그리고 홍역 예방주사를 맞고 있다.국립보건원은 홍역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초.중.고생 590만명을 대상으로 이날부터 예방접종을 시작했다.2001.5.21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서울 송파구 남천초등학교에서 한 여자 어린이가 얼굴을 찡그리고 홍역 예방주사를 맞고 있다.국립보건원은 홍역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초.중.고생 590만명을 대상으로 이날부터 예방접종을 시작했다.2001.5.21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홍역퇴치 인증을 받은 이후 2년 연속으로 토착형 홍역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5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 ‘홍역 대유행’을 치른 뒤 정부는 ‘국가홍역퇴치 5개년 계획’을 수립해 백신 접종률을 높였고, 2006년 사실상 홍역퇴치를 선언한 바 있다.

2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홍역 의심신고 건수는 336건으로, 이 가운데 실제 환자로 판명된 사례는 18명이었다. 18명 가운데 9명은 몽골, 인도네시아, 중국 등 해외를 방문해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고 4명은 국내에서 해외 감염자와 접촉한 뒤 발병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5명은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는 유전자형으로 확인돼 모두 해외유입 연관 사례로 분류됐다. 환자 2명을 제외한 16명은 백신 예방접종 여부를 모르거나 접종을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홍역은 발열,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이 특징인 급성 유행성 감염병이다. 홍역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상태에서 환자와 접촉하면 감염될 가능성이 90% 이상으로 높다. 1965년부터 홍역 백신이 사용됐고, 1980년대부터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 접종이 국가예방접종사업으로 도입됐다.

그러나 2000년 5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는 대유행이 일어나면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는 작업이 시작됐다. 환자의 대부분은 2세 미만과 7~15세로 조사됐다. 당시 2세 미만 소아의 대부분은 MMR 접종력이 없었고, 7~15세 소아 가운데 80%가 MMR 백신 1차 접종만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12월 실시한 접종률 조사에서 7~9세 MMR 백신 2회 접종률은 39%에 그쳤다. 이에 따라 정부는 8~16세 연령을 대상으로 일제예방접종을 시행해 청소년의 MMR 2회 접종률을 95% 이상으로 높였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국내 집단면역수준이 전체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상황에서도 일부 비면역자가 있으면 홍역에 감염될 수 있다”며 “홍역이 발생하더라도 발생규모를 최소화시켜 집단 유행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개인별 면역수준을 확보하는 것이 국내 전파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