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쌀값 하락에 AI·구제역까지…농가소득, 5년 만에 ‘뒷걸음질’

쌀값 하락에 AI·구제역까지…농가소득, 5년 만에 ‘뒷걸음질’

입력 2017-04-24 14:07
업데이트 2017-04-24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가 평균소득 4천707만원…전문·양식어가가 일반어가보다 더 많아

지난해 농축산물 수입이 줄면서 농가소득이 5년 만에 뒷걸음질쳤다. 반면 해조류 양식 수입이 늘면서 어가(漁家) 평균소득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경영주 연령별로 보면 농가에서는 50대가, 어가에서는 40대 경영주의 소득, 가계지출, 자산, 부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의 평균소득은 3천719만7천원으로 전년(3천721만5천원)보다 0.05% 줄었다.

농가소득 증가율이 감소한 것은 2011년(-6.1%) 이후 처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농작물, 축산물 등으로 벌어들인 농업소득이 1년 전보다 10.6% 줄었다.

농작물 수입(-6.2%), 축산수입(-12.4%)이 전년보다 모두 감소한 탓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쌀값이 하락하고 지난해 조류 인플루엔자(AI), 구제역 여파로 축산물 수입이 줄었다”며 “특히 소의 경우 가격이 비싸다 보니 소비 위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농업 총수입 대비 농업소득의 비율인 농업소득률은 33.4%에서 32.2%로 하락했다.

농업경영비는 2천121만1천원으로 5.3% 줄었다.

겸업 소득, 사업 외 소득 등 농업 외 소득은 2.1% 늘었다.

이전소득은 11.1% 증가한 878만3천원, 비경상소득은 309만5천원으로 0.6% 감소했다.

농가의 평균 가계지출은 3천104만9천원으로 1.4%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4억7천430만9천원으로 4.6% 증가했다.

토지, 건축물 등 고정자산이 3억6천822만6천원으로 2.6% 늘었고 현금, 예금 등 유동자산은 1억608만4천원으로 11.9% 뛰었다.

농가의 평균부채는 2천673만원으로 1.8% 줄었다.

영농형태별로 보면 축산농가 소득이 7천743만3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과수농가(3천443만4천원), 채소 농가(2천928만원), 논벼 농가(2천211만7천원) 순이었다.

축산농가는 가계지출(3천870만5천원), 자산(7억8천256만8천원), 부채(7천153만6천원)도 가장 많았다.

경영주 연령별로는 50대가 소득(6천315만1천원), 가계지출(5천35만8천원), 자산(6억6천419만원), 부채(5천394만7천원)에서 가장 높았다.

농가소득을 전년과 비교하면 40대 이하만 5.6% 감소했을 뿐 나머지 연령대에선 모두 늘었다.

한편 지난해 어가의 평균소득은 4천707만7천원으로 전년보다 7.2% 늘었다.

소득 중 어업소득 비중은 전년보다 3.9%포인트 증가한 56.5%였다. 어업 외 소득 비중은 전년보다 2.2%포인트 줄어든 24.5%였다.

지난해 어가의 평균 어업소득은 해조류 등 양식수입이 늘면서 2천659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15.2% 증가했다.

어업 총수입에서 어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어업소득률은 45.6%에서 48.6%로 상승했다.

어가의 평균 어업 외 소득은 1천155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1.5% 감소했다.

어가의 평균 가계지출은 3천8만6천원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이중 소비지출은 2천332만5천원, 비소비지출은 676만1천원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어가의 평균 자산은 4억896만원으로 전년보다 15.7% 증가했으며 평균부채는 2.9% 늘어난 4천287만원이었다.

어업 총수입이 2천만원 이상이면서 어업 총수입이 어업 외 수입보다 많은 ‘전문어가’의 평균소득은 7천760만7천원이었다.

전문어가는 소득과 지출, 자산, 부채 등이 모두 다른 어가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어가 소득과 부채는 어가 평균의 1.6배 수준이었다.

반면 전문어가가 아닌 일반어가의 평균소득은 1천602만4천원으로 소득에 비해 가계지출, 자산, 부채 등이 더 많았다.

양식어가 소득은 7천185만6천원으로 소득과 지출, 자산, 부채 등이 어로 어가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소득은 어로 어가의 1.9배 수준이었다.

경영주 연령별 어가 소득을 보면 70대 이상 어가만 전년보다 감소했고 나머지 연령대는 모두 증가했다.

70대 이상 경영주의 어가 소득은 2천195만1천원으로 평균의 절반 수준이었으며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낮았다.

40대 이하 경영주 어가 소득은 1억1천29만7천원으로 전체 연령대 어가 평균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