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나’되는 한기총·한교연

‘하나’되는 한기총·한교연

김성호 기자
입력 2017-04-13 17:34
업데이트 2017-04-14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수 개신교 양대 기구 통합 선언

“동성애·이슬람·종교인 과세 반대”
5월 9일 이전 실무 완료 목표로
이단 논란 A교단 문제가 분수령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한국교회연합 관계자들이 양 기관의 통합을 선언한 뒤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기총 제공
지난 12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한국교회연합 관계자들이 양 기관의 통합을 선언한 뒤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기총 제공
“한국 교회가 조국 발전과 근대화 역할을 해 왔으나 사분오열돼 사회적 지탄을 받고 있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양대 연합기관이 (하나로) 거듭나야 한다.”(이영훈 한기총 대표회장) “교회의 하나 됨은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이다. 연합기관이 하나 됨은 복음주의 연합과 일치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종교개혁 정신을 계승하고, 영적 리더십을 회복하고, 대사회적 통합을 위해 양 기관이 통합을 추진한다.”(정서영 한교연 대표회장)

한국 보수 개신교계의 양대 연합기구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대표회장 이영훈 목사)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대표회장 정서영 목사)이 통합을 선언했다. 양측은 일단 대통령 선거(5월 9일) 전까지 통합한다는 데 뜻을 모았으나 이단 교회를 둘러싼 이견이 여전해 실제 통합 과정은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기총과 한교연은 지난 12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양측이 합의한 향후 통합을 위한 절차를 전격 발표했다. 기자회견에는 한기총·한교연 관계자를 포함해 예장통합 이성희 총회장, 합동 김선규 총회장, 대신(구 백석) 이종승 총회장, 기감 전명구 총회장, 기독교한국침례회 유관재 총회장 등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통합을 선언한 두 단체는 통합추진위원장 엄기호 목사(한기총)와 고시영 목사(한교연)에게 이후의 진행 상황을 위임하기로 했다. 양측은 특히 양대 기구의 분열 이전 7·7정관을 따르기로 결정해 주목받았다. 2011년 제정한 7·7정관에 따르면 한기총 대표회장은 교단 대표만 할 수 있고 각 교단 대표들이 돌아가면서 맡는다. 두 단체는 7·7정관을 만들기 전 가입한 기존 교단과 단체는 인정하되 이후 가입한 교단과 단체는 심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심하기로 했다.

한기총과 한교연은 이날 통합 선언을 한 뒤 향후 양 기구의 공동 목표까지 발표했다. 이영훈 한기총 대표회장은 “연합기구를 하나로 만든 뒤 정부를 상대로 ‘동성애’, ‘이슬람’, ‘종교인 과세’ 반대를 제시할 것”이라는 선언까지 했다. 양측이 ‘선통합’을 공식 선언했지만 한기총 내 특정 교단(A교단)의 처리를 놓고 견해차를 노출하고 있는 형편이다.

한교연은 A교단의 모 인사를 중심으로 한 일부 세력이 다른 주요 교단에서 이단으로 규정된 만큼 한기총이 이를 정리하지 않으면 통합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이영훈 대표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A교단 모 인사와 관련, “그가 한국 교회 하나됨을 위해 연합단체와 교단에서 활동을 자제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도 회원권 정지와 같은 분명한 입장은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교연 측은 활동 자제만으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마뜩지 않게 여기고 있다.

개신교에서는 “한기총이 해당 A교단에 대한 회원권을 직접적으로 제한하지 않는 이상 사실상 통합은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결국 그동안 통합의 결정적인 걸림돌이 돼 왔던 특정 교단의 처리에 따라 한국 보수 개신교계의 통합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7-04-14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