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경계선을 허물고 살자/이인희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열린세상] 경계선을 허물고 살자/이인희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입력 2017-03-30 18:20
업데이트 2017-03-30 18: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인희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이인희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최근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을 자주 접하고 있다. 정보기술, 로봇기술,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실재와 가상의 통합이 가져올 산업 변화를 뜻한다. 1784년 증기를 이용한 기계화로 시작된 1차 산업혁명에 이어 전기혁명, 컴퓨터 기반의 정보혁명에 이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혁명에는 세 가지 속성이 담긴다. 변화의 영향력이 엄청나게 크고 넓은 범위까지 신속하게 파급돼 사회를 하루아침에 급변시키는 게 혁명이다. 스마트 미디어, 증강현실, 가상현실, 인공지능, 로봇, 자동제어 따위가 이제는 낯설지 않게 우리 생활 속으로 스며드는 시점이니 혁명이라 부를 만하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어떻게 달라진다는 말인가. 한마디로 경계선이 필요 없는 사회가 될 것이다. 경계를 짓는 사고방식조차도 무의미한 사회가 도래할 것이다. 우리 삶에서 경계선을 허물어야 할 때다.

우선 대학 교육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지식이 필요한 시대에 대학의 학과들은 틀에 짜인 커리큘럼대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전공마다 로드맵이 있어 학과를 졸업하면 어떤 직종으로 취업할지 예측이 쉬웠으나, 미래에 없어질 직종들이 벌써 눈에 들어오는데 진로 지도가 무의미해진다. 그런데도 1차 산업혁명의 산물인 대량 교육 모델은 아직도 기세등등하다. 같은 단과대학 소속의 인접 학문과도 교류가 없는 실정인데 하물며 인문, 기술,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진정한 융합교육은 아득히 먼 나라의 이야기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의 경계 짓기도 무의미하다. 대학에 병설된 사이버대학을 본대학과 통합해야 한다. 강의실에서 직접 들어야 하는 강의와 디지털 미디어로 수강할 수 있는 강의를 골고루 개설하고 학생들이 선택 수강해 120학점 이상의 포인트를 채웠을 때 학사 학위를 주면 충분하다. 지금 같은 학과와 소속 구분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청소년 인구가 감소하는 위기를 대학도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인생 삼모작’ 시대에 대학 역할의 무게중심을 사회인을 알차게 재교육하는 쪽으로 옮긴다면 전망은 밝을 수 있다. 25세가 될 때까지 정규 교육을 마치고 취업해 그 후 25년간 직장인으로 살다가 은퇴하는 50대 이후를 안정적으로 경제생활하며 살 수 있도록 재교육 여건을 제공하면 된다. 사이버대학, 평생교육원, 사회교육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따위의 경계를 어서 허물어야 한다. 대학이 지식을 독점 제공하는 시대는 끝났다. 지식은 디지털 미디어 속에 수없이 널려 있고, 대학은 인성과 창의성, 통찰력, 협업의 유연성을 기르는 공간이 돼야 한다.

미디어 분야에서는 로봇이 신문 기사를 대신 작성하는 현실 앞에 저널리스트가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오피니언이라 할지라도 인공지능이라면 몇 개의 키워드를 제시하기만 해도 원하는 칼럼을 깔끔하게 써 낼 수 있을 것이다. 언론사는 서둘러 ‘디지털 퍼스트’로 갈아타야 한다. 전통 매체의 한계를 인정하고, 양질의 디지털 뉴스와 콘텐츠 생산에 주력하는 퀄리티 저널리즘을 추구해야 한다. 한마디로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고 불필요한 경계를 허무는 데 앞장서며, 모든 구성원을 배려하고 포용해 만인의 공감을 얻는 언론을 지향해야 한다.

최근 발표된 ‘AP스타일북’에서 영어 단어 ‘데이’(they)를 단수대명사로 인정한다는 내용이 인상적이었다. 오늘날 보편적인 성평등 인식을 반영해 남녀 이분법적 표현을 삼가기로 한 것이다. 가령 ‘모든 사람은(everyone) 법 앞에 평등하다’고 할 때, 이어지는 문장에서 대명사를 쓸 때는 ‘모든 사람’을 ‘they’로 표기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꾼 것이다. 지금까지는 ‘he/she’라는 단수대명사를 병기했는데, 다층적인 성소수자를 배려한 경계 허물기의 가장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사회가 변했으니 언어도 그 변화에 발맞추는 게 마땅하다. 이 같은 변화를 언론이 주도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열어 갈 핵심은 이진법 기반의 디지털 기술이다. 흥미롭게도 디지털은 이진법 세포지만 우리 사회는 결코 이진법으로 유지될 수 없는 구조다. 오히려 수없이 많은 경우의 수를 인정하고 포용해야 건강한 공동체로 살아갈 수 있는 유기체다.
2017-03-3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