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스마트폰에는 세상이 없다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스마트폰에는 세상이 없다

입력 2017-03-29 17:48
업데이트 2017-03-29 17: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지금 이 순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취하고 있는 자세는 무엇일까? 아마 그것은 스마트폰에 얼굴을 고정한 자세일 것이다. 그곳에 온 세상이 들어와 있기나 한 듯 손바닥만 한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사람들을 어디서나 볼 수 있다. ‘2016년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00명 가운데 90.6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2015년 인구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총인구 4970만 5663명 중 열 살 미만이 448만 8347명으로 9%를 차지하니 열 살 이상이면 거의 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대중화되기 시작한 지 십 년도 채 안 된 스마트폰이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품이자 가장 친한 벗이 됐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계속 개발, 보급돼 이제 스마트폰에는 없는 것이 없을 듯하다. 그러나 뜻밖에도 스마트폰만 들여다봐서는 ‘세상’을 알 수 없다. 아니 그 안에는 세상이 없다. 그것에는 세상을 이루는 무수한 사물과 사건들이 들어와 있는데 이 무슨 소리인가?

우리가 지각하고 이해하는 세상의 모든 사물에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하나는 그것들 모두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어떤 물체도 배경이 없이는 형태를 드러낼 수 없다. 또 하나는 모든 사물은 다른 것들과 관련돼 인식되고 이해된다는 것이다. 우뚝 솟은 저 산을 보자. 그것은 구름이 떠다니는 하늘을 배경으로, 멀리 어디서 시작돼 또 어디론가 흘러가는 산맥 속에 존재한다. 이렇게 사물을 정의하고 이해하도록 해 주는 배경과 정황을 맥락이라고 한다. 어떤 사물의 맥락은 그 사물보다 넓은 범위를 살필 때 파악된다. 따라서 사물을 지각하고 이해하려면 서로 다른 척도, 곧 그 사물과 맥락을 동시에 보아야 한다. 집들이 다 비슷해 보이는 전형적인 전통 마을에서 종가를 규정하는 것은 집의 모양이나 크기가 아니라 마을에서 집의 상대적 위치, 곧 맥락이다. 아무리 그럴듯해 보여도 마을 입구나 중간쯤에 있으면 그 집은 종가가 아니다. 종가는 언제나 마을의 맨 뒤에서 뒷산을 배경으로 존재한다.

마을 공간이라는 더 큰 척도에서만 집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고 그것의 위상과 의미를 알 수 있다. 사물만이 아니라 사건도 마찬가지다. 전후 사정을 살펴야 하나의 사건을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종이 신문을 읽으며 전체 지면에서 기사의 위치, 기사 제목의 활자 크기 등으로 그 기사가 다루는 사건이 갖는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치명적인 맹점은 사물 혹은 사건과 그 맥락을 동시에 보여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모든 것을 하나의 척도로, 실제 크기와 무관하게 모두 같은 크기로 보여 준다. 화면의 크기가 고정된 스마트폰의 시각 구조는 시야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물체와 맥락을 동시에 인식하는 인간의 눈과 다르다. 물론 스마트폰에 화면 확대 기능이 있어서 전체를 보다가 그것을 이루는 부분을 확대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화면을 확대하는 순간 부분만 남고 전체는 화면 밖으로 사라진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통해서는 나무와 숲 또는 집과 마을을 동시에 볼 수 없고,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 결국 그것으로는 사물 혹은 사건과 그것이 존재하는 맥락을 함께 볼 수 없어 사물과 사건을 정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것들이 모여 이루는 세상을 알 수 없는 것이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들의 단순한 집합체가 아니라 그 개체들의 관계, 곧 맥락 속에 존재한다. 그러나 스마트폰에만 의존하면 사물이나 사건이 맥락 속에 존재한다는 중요한 사실을 잊게 된다. 세상을 개체로 분해해 버리는 스마트폰에 빠지면 사물 혹은 사건의 의미나 중요도를 알 수 없다. 우연히 선택된 부분만으로 전체 세상을 봄으로써 오해 속으로 빠져들거나 편협한 사고를 갖게 된다. 이미 한 세기 전에 형태심리학자들이 지적했듯이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물과 사건을 온전히 정의하고 그것의 의미와 중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나아가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스마트폰에서 벗어나야 한다. 여행을 하며 직접 사물을 맥락 속에서 관찰하고, 종이 신문이나 책을 읽으며 사건과 이야기를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2017-03-3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