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학생 흡연이 줄었어요… 비결은 동네 어른들의 관심

학생 흡연이 줄었어요… 비결은 동네 어른들의 관심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7-03-22 18:06
업데이트 2017-03-22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생에게 담배 판 상점 고발 계기 경찰·학부모·주민들 60여명 흡연 아지트 순찰·하굣길 지도

“자고 나면 가게 뒤에 담뱃재와 꽁초가 수두룩해 동사무소에다 좀 쓸어 달라고 민원을 넣을 정도였습니다. 이렇게 깨끗해질지 생각도 못했죠.”-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방앗간 주인 김준원(72)씨.

“그간 다른 데 가라고 윽박만 질렀지 정작 담배를 피우면 왜 안 좋은지 설명해 준 어른은 없었습니다.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건 관심과 사랑일 겁니다.”- 휘경여고 학부모 박모(44·여)씨.
경찰관과 학부모, 지역 주민으로 이뤄진 ‘112 청소년 사랑회’ 회원들이 22일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의 한 대로변에서 아이들에게 금연 지도를 하고 있다. 바닥에는 학생들의 주머니에서 나온 라이터들.
경찰관과 학부모, 지역 주민으로 이뤄진 ‘112 청소년 사랑회’ 회원들이 22일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의 한 대로변에서 아이들에게 금연 지도를 하고 있다. 바닥에는 학생들의 주머니에서 나온 라이터들.
수년 전만 해도 담배를 끄라는 어른의 훈계에 차량 파손이나 방화 사건이 발생할 정도로 학생 흡연 문제가 심각했던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일대가 ‘클린 존’으로 탈바꿈했다. 경찰은 청소년에게 담배를 파는 상점을 고발했고, 학부모들은 이른바 ‘흡연 아지트’를 찾아다니며 아이들을 설득했다. 교사들은 하교할 때 아이들이 골목길보다 대로변을 이용하도록 이끌었다. 흡연 근절 방법은 새롭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 주변 어른들의 관심과 정성이 달랐다. 그저 학내 프로그램에만 의존한 형식적 교육으로 인해 박제화된 현행 학교 흡연 대책에 시사점을 주는 대목이다.

●부모 마음으로 소통… 아이들 달라져

22일 오후 경찰관과 학부모 10여명이 담배 연기로 골치를 앓는다는 ‘OO빌라’의 작은 공터 앞에서 하교하는 고등학생들을 지도했다. 경찰관들은 이미 금연 상담을 한 적이 있는 아이들이라며 이곳을 지나던 네 명의 이름을 친근하게 불렀다. 앞에 선 남학생들이 곧 주머니에서 라이터 한두 개씩을 내어 놓았다. 한 학생은 “오늘은 안 피웠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천영희 서울보호관찰소 계장은 “단번에 흡연이 근절되진 않겠지만 아이들이 확실히 달라지고 있다”며 “강압적인 태도보다 부모의 마음으로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동대문경찰서, 휘경파출소, 인근 6개 학교 교사, 인근 주민 등을 중심으로 지난 3월 발족한 ‘112 청소년 사랑회’ 소속이다. 학생 흡연으로 지저분해지는 동네 환경을 바꾸는 데 그치지 말고, 힘이 닿는 만큼이라도 아이들을 바꿔보자고 60여명이 뜻을 모았다. 한 주민은 “길게는 30년 이상을 거주한 지역주민들이니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4곳의 흡연 아지트나 아지트로 향하는 길목 등을 눈 감고도 찾는다”며 “우리가 아지트는 물론 길목도 차단해 지도하고, 교사들도 하굣길에 아이들이 후미진 골목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고 말했다.

휘경동 어느 동네의 변화는 지난 1월 동대문경찰서가 학생들에게 담배를 팔던 한 편의점을 청소년보호법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한 데서 시작됐다. 당연한데도 외면했던 이 사소한(?) 법 집행은 주변 상점들로 하여금 정신이 번쩍 들게 했다. 어른들의 자성이 이어졌고, ‘112 청소년 사랑회’가 발족하는 계기가 됐다.

●“정책보다 학교 밖 지도가 관건”

이달부터는 풍선효과를 막기 위해 학생 상담 창구를 마련했다. 50여명의 학생에게 금연 교육을 시키고 진로 상담, 가정 문제 등의 고민을 듣는다. 흡연의 원인이 가정 불화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청소년 흡연율은 6.3%, 서울은 5.8%다. 서울시는 2020년까지 청소년 흡연율을 4%로 낮추기 위해 학교 인근 금연거리 지정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결국 학교 밖 지도가 관건이다. 이재억 휘봉고등학교 교장은 “남학생 10명 중 2명은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잠정 파악했지만 학교 밖 지도는 어려웠다”며 “하지만 지역사회가 모두 참여해 아이들의 흡연 문제에 관심을 쏟으니 다른 때보다 변화가 큰 것 같다”고 말했다.

글 사진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7-03-23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