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탄핵심판 최종변론 24시간 ‘카운트다운’…朴대통령 안 나오나

탄핵심판 최종변론 24시간 ‘카운트다운’…朴대통령 안 나오나

입력 2017-02-26 14:09
업데이트 2017-02-26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무준비 등 고려하면 오후엔 입장 밝혀야…헌재 “아직 답변 못 받아”

이미지 확대
대통령탄핵 사건 마지막 변론일을 하루 앞 둔 2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게시판에 변론일시가 표시되어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대통령탄핵 사건 마지막 변론일을 하루 앞 둔 2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게시판에 변론일시가 표시되어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사건이 최종변론일을 앞두고 있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출석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박 대통령이 고심을 거듭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최종변론까지 24시간도 채 남지 않으면서 불출석할 가능성이 크지 않으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26일 헌재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를 기점으로 박 대통령 탄핵심판의 최종변론은 24시간 ‘카운트 다운’에 들어갔다.
이미지 확대
대통령탄핵 사건 마지막 변론일을 하루 앞 둔 2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주변 경비가 강화된 가운데 경찰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대통령탄핵 사건 마지막 변론일을 하루 앞 둔 2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주변 경비가 강화된 가운데 경찰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최종변론은 27일 오후 2시부터 열린다. 박 대통령이 역대 대통령 처음으로 심판정에 직접 나와 최후진술을 할지가 최대 관심사다.

헌재는 22일 16차 변론에서 27일을 변론 종결일로 못 박았다. 그리고 박 대통령의 출석 여부를 26일까지 알려달라고 대통령 대리인단에 요구했다.

박 대통령은 출석 여부를 아직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헌재 관계자는 “아직 대리인단으로부터 들어온 답변은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 측 역시 “결정하지 못했다. 대통령께서 숙고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아직 출석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결국 박 대통령이 불출석하지 않겠냐는 전망이 나온다.

헌재에서 말한 ‘26일까지’는 표면적으로는 이날 자정까지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직무정지 상태이긴 하지만 현직 대통령인 만큼 청와대 밖으로 나설 때는 경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대략 이날 오후에는 입장을 헌재에 밝혀야 모든 준비가 차질 없이 이뤄질 것이라는 얘기가 많다.

대개 경호 준비에는 사전에 24시간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출석을 결정하면 헌재와도 협의가 필요한 탓이다.

그러나 아직 헌재에는 청와대로부터 연락이 왔거나, 경호실 요원들이 오가는 움직임은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대통령 측이 만약 출석 의사를 내일 오전에 밝힌다면 매우 촉박하기는 해도 헌재가 준비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원래 헌재가 최고 수준의 보안 상태를 유지하는 헌법기관인 만큼 보안 점검에 추가할 게 많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전의 가능성도 남아 있다.

박 대통령이 특검의 대면조사가 성사되지 않은 상황에서 헌재 출석까지 불발되면 법 절차는 외면하고 장외 여론전만 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 대리인단은 박 대통령에게 헌재 출석을 권유해 온 것으로 알려져 이날 오후 늦게라도 출석 결정을 통보할 수 있다.

만약 여의치 않을 경우 내일 오전 전격 통보가 이뤄질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진다.

다만 현재 분위기로는 극적인 반전의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어서 박 대통령의 출석 가능성은 점점 희박해진다는 게 중론이어서 최종 결과가 주목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