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과 차별 경계를 지운 달빛

‘달빛 아래에 흑인 소년들은 파랗게 보인다’(In moonlight, black boys look blue). 각본가 타렐 알빈 맥크래니가 쓴 희곡 제목이다. 이 작품을 바탕으로 배리 젠킨스 감독은 영화 ‘문라이트’를 만들었다. 극 중 인물의 대사로도 언급되는, ‘달빛 아래에 흑인 소년들은 파랗게 보인다’는 천천히 되새길 필요가 있는 표제다. 이것은 영화를 보기 전에도, 영화를 보는 중에도, 영화를 보고 나서도 마음에 스며든다. 우선 이 문장에서 짐작할 수 있는 바는 이런 것이다. 인종과 관련된 편견과 차별에 반대하기. 공식적으로 미국은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이 평등한 나라다. 그러나 우리는 알고 있다. 비공식적으로 미국은 백인을 최상위에 두고, 흑인을 비롯한 유색 인종을 하대한다는 사실을.
‘문라이트’
따라서 원작을 쓴 맥크래니와 그것을 각색해 영화로 만든 젠킨스가 흑인이라는 점은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마이애미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 작품에는 단 한 명의 백인도 나오지 않는다. 주연부터 조연까지 다 흑인이다. 그렇다고 ‘문라이트’를 선동 영화로 봐서는 곤란하다. 백인의 (비)가시적 폭력에 대항해, 흑인이 투쟁에 나서야 한다고 일깨우는 메시지 전달은 이 작품과 관련이 없다. 물론 흑인이 모여 사는 동네에 작용하는 구조적 배제를 부인할 수 없는 것은 맞다. 하지만 이 영화는 그보다 훨씬 더 내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예컨대 덩치가 작아 리틀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주인공 샤이론(알렉스 히버트)을 괴롭히는 사람은 같은 학교에 다니는 동급생들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강한 흑인은 약한 흑인을 못살게 군다. 흑인이 곧 선의 표상일 수는 없다는 뜻이다. 반면 그런 샤이론을 도와주는 사람―후안(메허샬레하쉬바즈 엘리)과 테레사(자넬 모네)도 흑인이다. 흑인이 곧 악의 표상일 수도 없다는 뜻이다. 우리와 똑같이 이들에게 선악은 공존한다. 마약에 중독된 샤이론의 엄마 폴라(나오미 해리스)가 아들을 사랑하면서도 내팽개치듯이. 폴라에게 마약을 파는 중개상 후안이 샤이론을 애틋하게 보살피듯이. 샤이론의 유일한 친구 케빈이 그를 좋아하면서도 때리듯이. 그들을 적나라하게 비추는 마이애미의 햇빛 아래에서는 죄다 이상하게 보인다. 그래서 요구되는 것은 모두를 포근하게 감싸 안는 달빛이다.

달빛 아래에서는 흑인 소년들뿐 아니라 전부가 파랗게 보인다. 여기에서는 인종을 포함한, 어떤 종류의 편견과 차별도 용납되지 않는다. 시인 송찬호는 ‘달빛은 무엇이든 구부려 만든다’는 시에 달빛을 사유하며 이렇게 쓴 적이 있다. ‘달이 빛나는 순간 세계는 없어져 버린다 / 세계는 환한 달빛 속에 감추어져 있다.’ 이 시의 구절이 ‘문라이트’를 시적으로 감상한 관객의 심정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햇빛 아래 비루한 세계도 달빛 아래에서는 그냥 세계로 보인다. 그러니까 햇빛은 몰라도 달빛에 맞설 수는 없다. 22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