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말을 관리하던 사람 거덜

[말빛 발견] 말을 관리하던 사람 거덜

이경우 기자
입력 2017-02-15 22:38
업데이트 2017-02-15 2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종로소방서 근처 길가엔 그곳이 ‘사복시 터’였음을 알리는 표지석이 있다. 표지석엔 사복시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도 들어 있다. “사복시 터.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던 수레, 말, 마구, 목장을 맡아보던 관청의 터. … 여기에 있던 외사복시는 1907년에 폐지되었다.” 사복시는 궁중의 가마나 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기관이었던 것이다.

사복시 앞의 개천은 늘 말똥도 있고 지저분했던 것 같다. 홍명희의 소설 ‘임꺽정’에는 “당신의 입은 사복개천이야”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사복개천’은 아주 더러운 물이 흐르는 개천을 뜻한다. 사복시의 개천이 매우 더러운 데서 왔다. ‘입이 걸기가 사복개천 같다’는 속담도 있다. 말을 조금도 삼가지 않고 상스럽게 함부로 지껄인다는 뜻으로 쓰인다.

사복시의 관원은 어땠는지 몰라도, 이곳의 종들은 사복개천 같은 행동을 했던 모양이다. ‘거덜’이라고 불린 이들은 말을 돌보고 관리하는 일을 했다. 여기에다 높은 벼슬아치가 행차할 때 길을 틔우는 일도 했다. 사극에서 “쉬~ 물렀거라” 하는 이들이 거덜이다.

거덜은 지위는 낮았지만, 위세는 대단했다. 예를 갖추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발길질을 해댔다. 우쭐대며 몸을 흔들고 다녔다. 여기에 허세까지 더해진 게 그들의 모습이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거덜’에 새로운 뜻이 붙었다. ‘재산이 없어짐. 하려던 일이 여지없이 결딴남.’

‘거들거들, 거들먹거리다, 거들대다, 거드름’ 같은 말들도 ‘거덜’에서 왔다. 그 옛날 ‘거덜’은 사라졌지만, 그들의 허세는 말 속에 남았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7-02-16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